홈 > 디렉토리 분류

1876년 정재범(鄭在範) 서간(書簡) 별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3+KSM-XF.1876.0000-20110630.D48860557-1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재범, 김인섭
작성시기 1876
형태사항 크기: 20.5 X 16.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76년 정재범(鄭在範) 서간(書簡) 별지
1876년 11월 26일, 정재범(鄭在範)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에게 보낸 편지의 별지이다. 정조(精租) 1석을 창고를 열 때를 기다려 단계(丹溪)김정언(金正言) 댁에 내드리라는 내용이다.
『慶南文化硏究』24집, 이상필, 경남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류지훈,심수철

상세정보

1876년 11월 26일, 정재범이 정조 1석을 창고를 열 때를 기다렸다가 단계 김정언 댁에 드리라는 내용으로 김인섭에게 작성해준 편지의 별지
내용 및 특징
1876년 11월 26일, 鄭在範이 端磎 金麟燮에게 보낸 편지의 별지이다. 간찰에서 언급한 내용을 手標로 작성하였다. 精租 1石을 창고를 열 때를 기다려 丹溪김정언 댁에 드리라고 하고, 1876년 11월 26일 ‘鄭主簿宅標’라고 하여 이 문서를 발행한 날짜와 발행처를 밝혔다. 그리고 이 紙標를 幷亭吳生員댁에 전해주라고 하였다. 병정이란 창고가 있는 곳의 지명이고, 오생원 댁은 鄭主簿 댁의 창고를 관리하는 사람으로 보인다. 편지의 원문에서, ‘정조 1석을 보내겠다.’고 한 것에 대한 手標로, 이것을 가진 사람이 창고관리인에게 보이면, 정조 1석을 내어 주도록 한 것이다. 手標는 貸借 ` 寄託 ` 賣買 ` 約束 등을 할 때 주고받는 證書로서, 侤音의 성격을 가지며, 手票와 手記는 혼용하고 있다.
자료적 가치
간찰자료는 조선시대의 고문서 가운데 양적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그러면서도 구체적인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간찰 자료는 주로 안부와 건강 등 일상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내용들 대부분은 주고받는 사람 상호간에만 이해될 수 있는 내밀한 이야기이거나 이야기 되는 사건의 전말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편지글의 자료적 가치는 바로 이 내밀성과 일상성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간찰자료는 그 자체의 형식과 용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사 혹은 일상생활사, 심성사 등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정사나 일반적인 사료에서는 결코 확인할 수 없는 개인의 미묘한 생각이나 입장도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간찰은 상호간의 주장을 공개적으로 주고받거나 학문에 대한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학문적인 교류나 토론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학문적인 토론이나 주장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제3자에게도 전달되며, 후대에 문집에 수록되거나 별도의 서책으로 편집되어 개인의 중요한 저술로 전해지기도 한다.
手標는 연호를 쓰지 않고, 干支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조선시대의 산송과 관련한 문서들은 많이 볼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빈민을 구휼하기 위한 문서는 보기 드문 자료이다.
『慶南文化硏究』24집, 이상필, 경남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류지훈,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6년 정재범(鄭在範) 서간(書簡) 별지

精租壹石 待開庫納
上於丹溪金正言宅也
丙子 十一月 二十六日 介坪
鄭主符宅標
此帋 傳于幷亭吳生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