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5년 김치일(金致鎰) 서간(書簡) 별지(別紙)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3+KSM-XF.1855.0000-20110630.D48860251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치일, 김종규, 김종해
작성시기 1855
형태사항 크기: 30.5 X 39.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5년 김치일(金致鎰) 서간(書簡) 별지(別紙)
1855년 4월 4일, 김치일(金致鎰)등 4명이 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에게 자신들의 선조(先祖)인 요산공(樂山公)가장(家狀)행록(行錄)을 부탁하며 보낸 편지의 별지이다. 8종류의 물품을 보낸 물목이다.
『慶南文化硏究』24집, 이상필, 경남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류지훈,심수철

상세정보

1855년 4월 4일, 김치일등 4명이 단계 김인섭에게 선조 요산공가장행록을 부탁하며 보낸 편지의 별지
내용 및 특징
1855년 4월 4일, 金致鎰등 4명이 端磎 金麟燮에게 先祖 樂山公家狀行錄을 부탁하며 보낸 편지의 별지로, 글을 부탁하고 8종류의 물품을 보내면서 기록한 물목이다. 물목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壯紙 1束, 黃筆 1柄, 眞墨 1丁, 北魚 1級, 海參 1貼, 文魚 1尾, 廣魚 5尾, 모시베 1필 대신 돈 10貫.
자료적 가치
간찰자료는 조선시대의 고문서 가운데 양적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그러면서도 구체적인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간찰 자료는 주로 안부와 건강 등 일상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내용들 대부분은 주고받는 사람 상호간에만 이해될 수 있는 내밀한 이야기이거나 이야기 되는 사건의 전말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편지글의 자료적 가치는 바로 이 내밀성과 일상성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간찰자료는 그 자체의 형식과 용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사 혹은 일상생활사, 심성사 등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정사나 일반적인 사료에서는 결코 확인할 수 없는 개인의 미묘한 생각이나 입장도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간찰은 상호간의 주장을 공개적으로 주고받거나 학문에 대한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학문적인 교류나 토론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학문적인 토론이나 주장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제3자에게도 전달되며, 후대에 문집에 수록되거나 별도의 서책으로 편집되어 개인의 중요한 저술로 전해지기도 한다. 특히 이 문서에서는 선조의 일에는 후손들이 재물을 아끼지 않는 정성을 읽을 수 있다.
『慶南文化硏究』24집, 이상필, 경남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晋陽續誌』, 성여신,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端磎集』, 김인섭,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琴臯集』, 성석근, 남명학고문헌시스템
류지훈,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5년 김치일(金致鎰) 서간(書簡) 별지(別紙)

胎錄
壯紙 壹束
黃筆 壹柄
眞墨 壹丁
北魚 壹級
海參 壹貼
文魚 壹尾
廣魚 五尾
紵布 壹通 代文十貫

乙丑四月 初四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