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36년 김화진(金和鎭) 토지매도증서(土地賣渡証書)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3+KSM-XE.1936.4792-20110630.KASAC03782510000_113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내용분류: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작성주체 김주섭, 김화진
작성지역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동면리
작성시기 1936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한글
소장정보 원소장처: 봉화 명호 안동김씨 해헌고택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도천리
현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안내정보

1936년 김화진(金和鎭) 토지매도증서(土地賣渡証書)
1936년 3월 12일, 김주섭(金周燮)이 자신의 동네에 사는 김화진(金和鎭)에게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도증서(土地賣渡証書)로, 임야(林野) 중에 1필은 제외하며, 토지 대금은 어기지 않고 주기로 한다는 내용이다. 이 문서에서는 매매되는 토지와 매매 가격이 구체적으로 명기(明記)되어 있지 않다.
『韓國法制史攷』, 朴秉濠, 법문사, 1987
『韓國古文書硏究』(增補版), 崔承熙, 지식산업사, 2003
『근대 공문서의 탄생』, 김건우, 소와당, 2008
서은주,심수철

상세정보

1936년 3월 12일, 봉화군재산면동면리에 사는 김주섭이 같은 동네에 사는 김화진에게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도증서
내용 및 특징
1936년 3월 12일, 奉化郡才山面東面里에 사는 金周燮이 같은 동네에 있는 토지를 金和鎭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土地賣渡証書로, 林野 중에 1필은 제외하고 보존할 증명문서를 제출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하게 하되, 토지 대금은 어기지 않고 주기로 한다는 내용이다. 이 문서에서는 매매되는 토지와 매매 가격이 구체적으로 明記되어 있지 않으며, 증인도 없어 토지매매문서로서는 허점이 많다. 계약주인 김주섭만 도장을 찍었다.
자료적 가치
토지매매문서는 시대에 따라 형식을 달리하고 있다. 일제시대에는 이 같은 매도증서나 계약서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우선 각 시기별 토지 매매관행이나 제도, 문서의 형식 등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개인 혹은 가문별로는 소유한 토지의 취득과정과 매매의 사유, 재산의 상실과 집적과정 등을 살필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당시 토지의 파악방식, 가격의 동향, 신분별 토지의 소유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문서는 토지매매문서에 반드시 명시되어야 할 해당 토지와 매매 가격이 없어 허점이 많은 계약증이다.
『韓國法制史攷』, 朴秉濠, 법문사, 1987
『韓國古文書硏究』(增補版), 崔承熙, 지식산업사, 2003
『근대 공문서의 탄생』, 김건우, 소와당, 2008
서은주,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36년 김화진(金和鎭) 토지매도증서(土地賣渡証書)

土地賣渡証書
土地所在 奉化郡 才山面 東面里
右土地目錄筆數을 幷爲賣渡하되 林
野中 陳荒地一筆얼 除却고 保存
證記얼 提出하야 買受人前에 移轉
케되 土地代金은 無違出給기로
玆以契約홈
昭和十一年 三月十二日
奉化郡 才山面 東面里
約主 金周燮 [印]
買受人 金和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