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5년 최두영(崔斗永) 토지매매계약증(土地賣買契約証)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3+KSM-XE.1915.0000-20110630.K271405080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내용분류: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작성주체 전상교, 최두영, 강진원
작성시기 1915
형태사항 크기: 26.5 X 38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저지
표기문자: 한자, 한글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915년 최두영(崔斗永) 토지매매계약증(土地賣買契約証)
이 문서는 1915년 10월 21일에, 전상교(全相教)영천군(永川郡)대창면(大昌面)운천동(雲川洞)운천원(云川員)에 있는 논밭을 46엔(円)의 돈을 받고 최두영(崔斗永)에게 영원히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계약증(土地賣買契約証)이다.
『韓國法制史攷』, 朴秉豪, 법문사, 1983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崔承熙, 지식산업사, 2003
『근대 공문서의 탄생』, 김건우, 소와당, 2008
서은주,심수철

상세정보

1915년 10월 21일, 全相教崔斗永에게 永川郡大昌面雲川洞云川員에 있는 田畓을 46円의 값을 받고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土地賣買契約証
내용 및 특징
이 문서는 1915년 10월 21일, 全相教崔斗永에게 永川郡大昌面雲川洞云川員>의 帳字 畓 8斗落을 46円의 값을 받고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土地賣買契約証이다. 계약증에는 전답의 소재지와 면적뿐만 아니라 4방의 경계표지도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매도인 전상교는 도장을 찍었으나, 같은 마을에 사는 보증인 姜辰元은 指章을 찍었다.
자료적 가치
토지매매명문은 고문서학, 법제사, 경제사 등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이를 통해 우선 각 시기별 토지 매매관행이나 제도, 문서의 형식 등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개인 혹은 가문별로는 소유한 토지의 취득과정과 매매의 사유, 재산의 상실과 집적과정 등을 살필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당시 토지의 파악방식, 가격의 동향, 신분별 토지의 소유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문서는 일제 강점기에 작성된 것으로 당시의 토지매매관행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韓國法制史攷』, 朴秉豪, 법문사, 1983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崔承熙, 지식산업사, 2003
『근대 공문서의 탄생』, 김건우, 소와당, 2008
서은주,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15년 최두영(崔斗永) 토지매매계약증(土地賣買契約証)

土地賣買契約証
一. 土地所在은 永川郡 大昌面 雲川洞 云川員 五三七 田
四 畓八斗落 帳字 古結數 拾參負陸束也
一. 四標
姜周浩田 西 孔漢斗
曺秉郁田 北 路
一. 賣買金額 肆拾陸円也
土地賣買의 對하야 右金額을 賣渡人이 買受
人의게 受取하고 右所有權土地을 永永確實희
移轉于買受人할 事로 玆의 成証함
大正四年 陰十月 二十一日
賣渡人 永川郡 大昌面 龍田洞 全相教 (印)
保証人 同郡 同面 同洞 姜辰元 (指章)
買受人 崔斗永 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