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9년 이조수(李肇秀)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2+KSM-XF.1849.4785-20100731.E47840525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조수, 이정상
작성지역 경상북도 칠곡군
작성시기 1849
형태사항 크기: 29 X 42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49년 이조수(李肇秀) 서간(書簡)
1849년(헌종15) 윤4월 21일에 이암(耳巖:돌밭) 이조수(李肇秀)이원조(李源祚)의 아들인 이정상(李鼎相)에게 보낸 편지이다. 오랫동안 찾아보지 못한 그리움을 전하고 부모님과 가족들은 편안한지 안부를 묻고 존부공(尊府公)이 경주 부윤(慶州府尹)에 제수되어 영광스럽고 경하하는 마음이 평소와는 다름을 밝혔다. 자신은 예나 다름없이 근근이 지내고 있으나 당형(堂兄)이 병이 심하여 걱정이며, 전염병이 돌아 마음을 졸이고 있는 상황임을 전하였다. 집 아이를 대신 보내어 축하를 드리니 오래 붙잡아두지 말고 곧 돌려보내줄 것을 당부한 내용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東方漢文學』12,동방한문학회, 1996
김상환,심수철

상세정보

1849년(헌종15) 윤4월 21일, 耳巖[돌밭] 李肇秀李源祚의 아들인 李鼎相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1849년(헌종15) 윤4월 21일에 耳巖[돌밭] 李肇秀李源祚의 아들인 李鼎相에게 보낸 서찰이다. 오랫동안 찾아보지 못한 그리움을 전하고 부모님과 가족들은 편안한지 안부를 묻고 尊府公이 慶州府尹에 제수되어 영광스럽고 경하하는 마음이 尋常과는 다름을 밝혔다. 자신은 예나 다름없이 근근이 지내고 있으나 堂兄이 병이 심하여 걱정이며, 전염병이 돌아 마음을 졸이고 있는 상황임을 전하였다. 집 아이를 대신 보내어 축하를 드리니 오래 붙잡아두지 말고 곧 돌려보내줄 것을 당부한 내용이다. 조선 시대의 지방 관아에서 종2품의 외관직으로는 영흥부·평양부·의주부·전주부·경주부의 다섯 곳에 두었으며, 증조부모까지 위로 3대가 증직이 추증되므로 영광된 자리임에 틀림없다. 1849년 당시 나이 58세 때에 金剛山 유람을 떠나 竹嶺丹陽龜潭·島潭 등 여러 곳의 경치를 살피고, 堤川에 이르러 경주 부윤에 제수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原州로부터 다시 걸음을 돌려서 5월에 辭陛하고 부임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서찰은 ‘응 0526’과 연결되는 서찰로 ‘응 0526’은 이조수이원조에게 경주부윤에 제수된 것을 축하하며 보낸 서찰이고, 이 서찰은 이조수가 응와의 아들 鼎相에게 아버지가 부윤에 제수된 것을 축하하며 아들을 보내어 축하하였다. 상대방에게는 서찰로 그의 아들에게는 자신의 아들을 시켜 서찰과 선물로 축하하는 아름다운 마음을 볼 수 있는 서찰이다. 여름이 아닌 데에도 이 당시에 전염병이 돌아 발신자의 형을 비롯하여 백성들이 마음을 졸이면서 살았던 상황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凝窩全集』, 李源朝,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東方漢文學』12,동방한문학회, 199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편, 역락, 2006
「書牘類의 특징과 조선 후기의 양상」, 金允朝, 『東方漢文學』30,동방한문학회, 2006
『간찰』, 심경호, 한얼미디어, 2006
김상환,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9년 이조수(李肇秀) 서간(書簡)

[피봉]
수신, 大浦 侍坐執事
발신, 耳巖 李弟 候狀 謹拜
[본문]
久未奉見 瞻溸何喩 伏惟
侍候衛重 寶眷俱安
尊府公 東京
除拜之榮 豈從聳賀相信
慶喜 不尋常也 弟僅支昔狀
而堂兄病深 憂慮不淺 且疹
警不佳預 故惱煎 家兒替遣
拜賀 望勿久挽如何 餘不備
狀禮
照亮 謹拜狀
己酉 閏四月 二十一日 弟 李肇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