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31년 이정식(李鼎栻)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2+KSM-XF.1831.4784-20100731.E47840516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정식, 이원조
작성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작성시기 1831
형태사항 크기: 32.5 X 37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31년 이정식(李鼎栻) 서간(書簡)
1831년(순조31) 12월 9일 아들 정식(鼎栻)이 부친인 이원조(李源祚)에게 올린 서간이다. 이 서찰은 내용은 할머니를 비롯한 고모와 동생 손자 등등 이웃집의 할아버지에 이르기까지 고향의 세세한 부분까지도 상세하게 전하며, 주고받는 사람 상호간에만 이해될 수 있는 내밀한 이야기가 많다. 또한 매서운 추위에 공무를 보는 부친의 건강을 염려하고 그리움의 감정을 드러내는 등 부자간의 정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당시의 인간관계나 친족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나 전체의 전말을 구체적으로 궁구해볼 필요가 있게 한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東方漢文學』12,동방한문학회, 1996
김상환,심수철

상세정보

1831년(순조31) 12월 9일, 아들 鼎栻이 부친인 李源祚에게 올린 편지
내용 및 특징
1831년(순조31) 12월 9일 아들 鼎栻이 부친인 李源祚에게 올린 서간이다. 요사이 추위가 점점 매서워지는데 宿直하시는 체력은 어떠하며 공무는 크게 괴롭지는 않은지를 여쭙고 臘政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보고 싶은 심정을 드러내었다. 자신의 寢食은 여전하며 할머니는 근력은 크게 불편한데는 없으며, 고모의 병환도 점점 나아져 法山으로 모시고 다녀왔지만 눈에 띄는 불편함은 없었음을 말하고, 위 댁의 할아버지는 지난번의 감기로 편치 않았는데 요사이 원기를 회복하여 中山으로 행차하려 하였으나 알 수 없는 병으로 끝내 원통하게 돌아가셨으며, 億兒의 혼례날짜는 다음 달 12일로 정하였으며 冠禮는 이달 29일로 정하였지만 모든 것이 아직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것을 걱정하였다. 아우인 이의 등에 난 終期는 要害處(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는 몸의 중요한 부분)는 아니지만 추위만 닥치면 심해졌었는데 지금은 고름이 터지고 오그라들어가고 있음을 전하고, 官衙에서 祭駄便이 있다는 말을 듣고 간략하게나마 써서 부치지만 곧바로 전해질지를 몰라 걱정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원조에게 보낸 서찰로 보이나 단정할 수가 없다. 星山李氏世譜에는 鼎栻이라는 아들이 등재되어 있지 않으나, 항렬자는 鼎相과 같은 항렬자이다. 또한 정식의 동생인 이나 정식의 아들인 도 또한 찾을 수가 없다. 1831년은 응와 나이 40세로 정6품 벼슬인 성균관典籍을 맡고 있을 때이다. 이 서찰은 내용이 주고받는 사람 상호간에만 이해될 수 있는 내밀한 이야기가 많으며, 부자간의 정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추운 날씨에 외지에서 관직 생활하는 아버지를 걱정하며 은근히 12월의 都目政事에서 체직되어 집으로 돌아왔으면 하는 기대를 읽을 수 있다. 할머니를 비롯한 고모와 동생 손자 등등 이웃집의 할아버지에 이르기까지 고향의 세세한 부분까지도 상세하게 전하는 자식의 정성이 깃들어 있으며, 당시의 인간관계나 친족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나 전체의 전말을 구체적으로 궁구해볼 필요가 있게 한다.
『凝窩全集』, 李源朝,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東方漢文學』12,동방한문학회, 199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편, 역락, 2006
「書牘類의 특징과 조선 후기의 양상」, 金允朝, 『東方漢文學』30,동방한문학회, 2006
『간찰』, 심경호, 한얼미디어, 2006
류지훈,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31년 이정식(李鼎栻) 서간(書簡)

[피봉]
수신, 父主前 上白是
[본문]
寒事漸緊 便音久阻 伏菀
之懷 如何盡喩 伏惟玆者
直中體力 連享万安 公務
不至大腦 臘政不遠 動靜
果何如 伏溸區區 無任下誠
子眠食姑依
祖母主筋力 別無大諐節
姑主患候 漸次向減 再昨
陪去法山 而姑無顯諐 何幸如

之 上上宅
祖父主 體候 向以寒感欠寧
而近復天和 方擬中山行次
萬萬厘 以無何之症 竟至寃

逝 悲慘悲慘 億兒醮日 定于
來月旬二 冠禮 則今月念
九 而凡百 尙多未備奈何
弟 背瘇 不甚大要處
而當寒善添
今幸破濃向縮
耳 聞官有祭駄

便 故略付平信
未知趁卽傳上
耶 餘不備 伏惟
下鑑
辛卯至月 初九日
鼎栻 上白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