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기계(杞溪) 유씨(兪氏) 서간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2+KSM-XF.0000.4784-20100731.E47840212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형태사항 크기: 23.5 X 34.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현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안내정보

기계(杞溪) 유씨(兪氏) 서간
기계(杞溪) 유씨(兪氏) 집안사람이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서찰의 협지로, 기계(杞溪) 유씨 시조를 모신 부운암(浮雲菴)의 수리를 도와서 1년에 한번 있는 제사를 잘 지낼 수 있게 해달라는 내용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주기계(杞溪) 유씨 시조가 있던 곳이고, 부운암(浮雲菴)은 그의 재실인데 요사이 재사의 지붕을 이고 수리를 하는 큰 일이 반도 되지 않아 중도에 그만두는 탄식이 있게 되었다. 수리하는 일을 오로지 집안사람 경환(京煥)치린(致麟)에게 주관하게 하였는데, 이들은 문장과 범절이 비범하기 때문이니 수신자가 불러서 격려해주고 도와주면 감사하겠다. 역정(役丁)은 기계(杞溪)신광(神光) 두 면에서 정해서 지급하여 큰일을 완성하게 하고 재실에 남아 있는 돈으로 이자를 불려 제수용품을 마련하는 비용으로 쓰려고 하는데, 근래 원금과 이자를 거두지 못한다는 말을 들었다. 모든 일들에 실수가 없도록 잘 돌보아 달라.
박상수,심수철

상세정보

杞溪 兪氏 집안사람이 응와 이원조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서찰의 협지로, 杞溪 유씨 시조를 모신 浮雲菴의 수리를 도와서 1년에 한번 있는 제사를 잘 지낼 수 있게 해달라는 내용
내용 및 특징
발급자와 수급자에 대한 기록과 날짜가 없어 언제 누구에게 보냈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兪氏 집안사람이 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의 협지로 추정이 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주杞溪 유씨 시조가 있던 곳이고, 浮雲菴은 그의 재실인데 요사이 재사의 지붕을 이고 수리를 하는 큰 일이 반도 되지 않아 중도에 그만두는 탄식이 있게 되었다. 수리하는 일을 오로지 집안사람 京煥致麟에게 주관하게 하였는데, 이들은 문장과 범절이 비범하기 때문이니 수신자가 불러서 격려해주고 도와주면 감사하겠다. 役丁은 杞溪神光 두 면에서 정해서 지급하여 큰일을 완성하게 하고 재실에 남아 있는 돈으로 이자를 불려 제수용품을 마련하는 비용으로 쓰려고 하는데, 근래 원금과 이자를 거두지 못한다는 말을 들었다. 모든 일들에 실수가 없도록 잘 돌보아 달라. 이 간찰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당시 이원조가 유씨 집안과도 친분이 있어 교유하였음을 알 수가 있고, 승려가 기계 유씨 집안의 浮雲菴 제수에 필요한 원금과 이자를 관리하였음 알 수가 있다. 浮雲菴경상북도포항시북구기계면미현리에 있는 재사로 1710년에 兪命弘경상감사가 되어 묘사 16간을 세워 浮雲菴이라 액을 하고, 승도로 하여금 지키게 하고, 또 제전을 두어 시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1849년에 이원조경주부윤에 제수되었기 때문에 이 서찰의 발신년도는 1849년으로 추증할 수 있다. 그리고 협지가 아닌 원문이 발견되면 발수신자와 연도도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자료적 가치
간찰[편지]자료는 조선시대의 고문서 가운데 양적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그러면서도 구체적인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간찰 자료는 주로 안부와 건강 등 일상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내용들 대부분은 주고받는 사람 상호간에만 이해될 수 있는 내밀한 이야기이거나 이야기 되는 사건의 전말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편지글의 자료적 가치는 바로 이 내밀성과 일상성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의 건강이나 질병, 가난, 흉년 등의 문제와 발신자와 수신자의 다양한 인간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정사나 일반적인 사료에서는 결코 확인할 수 없는 개인의 미묘한 생각이나 입장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간찰자료는 그 자체의 형식과 용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사 혹은 일상생활사, 심성사 등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凝窩全集』, 李源朝, 여강출판사, 1986
이세동, 『東方漢文學』12,동방한문학회, 199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편, 역락, 2006
金允朝, 『東方漢文學』30,동방한문학회, 2006
『간찰』, 심경호, 한얼미디어, 2006
박상수,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기계(杞溪) 유씨(兪氏) 서간

[피봉]
錄紙

[본문]
慶州杞溪兪氏 始祖山之所在 而浮雲菴
卽其齋室也 挽近修葺事 巨力綿實
有半途廢之歎 而專靠於族人 京煥
致麟 而幹事 皆其文華與凡節 非凡
故也 下車後 卽爲延見 使之隨事出入
俾生光鮮 非獨爲渠之榮 抑亦爲事之
就而已 役丁 以杞溪神光 二面定給 俾完
大事 且齋室 有遺在錢 放債取息 入用於
歲一祭之需矣 近聞母錢與子錢 幷不得收
取云 待齋室僧呈訴 卽爲捧出 以給無至
見失之地 千萬伏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