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음력 12월 10일에 田主 金斗名이 奉化郡才山面葛山里平地員에 있는 자신의 밭을 팔면서 金和鎭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문서
내용 및 특징
1918년(대정7) 음력 12월 10일에 田主 金斗名이 奉化郡才山面葛山里平地員에 있는 자신의 1,401번 밭 848평 33,924 두락을 金和鎭에게 70냥을 받고 新文記 1장과 함께 팔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賣主는 김두명, 買受人은 김화진, 證筆은 金鍾主이며, 매주와 증필만 이름 밑에 도장을 찍었다. 한편 본문의 내용 가운데 가격을 표시한 부분에도 도장을 찍었는데, 이는 僞造를 방지하기 위해 취한 조치로 보인다.
자료적 가치
토지매매명문은 고문서학, 법제사, 경제사 등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이를 통해 우선 각 시기별 토지 매매관행이나 제도, 문서의 형식 등을 살필 수 있으며, 개인 가문별로는 소유 토지의 취득과정과 放賣 사유, 재산의 상실과 집적과정 등을, 전체적으로는 당시 토지의 파악방식, 價格의 동향, 신분별 토지소유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문기의 내용 가운데에 가격을 표시한 부분에도 도장을 찍었는데, 이것은 나중에 가격을 위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당시에 토지를 매매할 때 문서의 위조를 막기 위한 조처를 취한 사실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韓國法制史攷』, 朴秉濠, 법문사, 1987
『韓國古文書硏究』(增補版),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근대 공문서의 탄생』, 김건우, 소와당, 2008
정목주,정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