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655년 최경함(崔慶涵) 별급문기(別給文記)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2+KSM-XE.1655.2714-20100731.K271409432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고문서 유형
내용분류: 경제-상속/증여-분재기
작성주체 이씨, 최경함
작성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작성시기 1655
형태사항 크기: 60 X 50.5
수량: 1장
재질: 저지
표기문자: 한자, 초서, 이두
소장정보 원소장처: 대구 칠계 경주최씨 백불암종중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655년 최경함(崔慶涵) 별급문기(別給文記)
1655년(효종 6년) 조모 이씨가 장손 경함(慶涵)에게 노비와 전답을 지급한 별급문기이다. 별급문기(別給文記)란 재주(財主)가 특정한 사람에게 자신의 재산의 일부를 특별히 지급하는 문서의 형식이다. 별급한 이유는 자신의 슬하에서 자란 최경함(崔慶涵)이 아들을 낳아 가세를 이어갈 수 있게 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기 때문이다. 별급의 내용은 노비 6명과 논 48마지기, 밭 23 마지기이다.
『慶北地方古文書集成(연구편)』, 李樹健,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1
『韓國古文書硏究』(增補版),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文叔子, 경인문화사, 2004
오덕훈,심수철

상세정보

1655년(효종 6년)1월 22일, 조모 이씨가 장손 최경함의 사마시(司馬試) 합격을 축하하기 위해 노비와 전답을 별급하면서 작성한 문서
내용 및 특징
1655년(효종 6년) 조모 이씨가 장손 경함에게 노비와 전답을 지급한 별급문기이다. 財主인 조모 이씨崔東㠍의 처로, 본관은 驪州이고, 晦齋 李彦迪의 증손녀며, 無添堂 李宜潤의 따님이다. 장손인 崔慶涵은 百弗庵 崔興遠의 증조부이다. 조모 이씨는 손자인 경함이 자신의 슬하에서 자라 정과 사랑이 다른 사람보다 훨씬 더한 터에 일찍이 가정을 가져 아들을 낳아 가세를 이어갈 수 있게 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으므로 그 기쁨을 표하기 위하여 노비와 전답을 특별히 지급하게 된 사연을 서두에서 밝혔다. 별급하는 재산은 新奴婢永環의 첫 번째 소생인 비 銀環은환의 첫 번째 소생인 비 梅環, 두 번째 소생인 노 銀男, 세 번째 소생 인 비 梅月, 네 번째 소생인 노 銀峯, 다섯 번째 소생인 노 銀石 등 모두 6명의 노비와 그 後所生을 아울러 준다고 하였다. 노비의 이름 다음에 있는 간지는 그들의 태어난 해를 표시한다. 또 전답으로는 경주良佐洞 武丁員에 있는 논 17마지기[斗落只]와 浦旨員에 있는 논 5마지기, 蛇洞員에 있는 논 6마지기, 蛇洞員에 있는 논 1섬지기[石落只], 基川員에 있는 밭 23 마지기 등을 지급하고 있다. 재주인 조모 이씨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고, 筆執은 재주의 同姓 3촌 조카인 유학 李垙이 담당하였으며, 수결하였다.
자료적 가치
별급문기는 분재기의 한 유형이며, 분재기란 노비와 토지 등 재산을 상속하는 문서이다. 그 양도 상당하다. 분재기 작성의 주체가 대부분이 양반이고, 상속의 내용이 토지와 노비, 가옥 등이라는 점에서 우선 개별 양반가문의 토지와 노비 또는 가옥 등의 소유 규모와 그것의 추이, 재산의 형성과정과 가문의 부침 등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인 가치가 아주 크다. 그리고 분재기가 재산상속의 문서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가족관계와 재산상속제도의 특징과 변화 등을 살필 수 있다. 특히 이 별급문기는 별급의 사유와 별급의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慶北地方古文書集成(연구편)』, 李樹健,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1
『韓國古文書硏究』(增補版), 崔承熙, 지식산업사, 1989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文叔子, 경인문화사, 2004
오덕훈,심수철

이미지

원문 텍스트

1655년 최경함(崔慶涵) 별급문기(別給文記)

順治十二年乙未正月二十二日 長孫慶涵處別給
爲臥乎事段 汝以獨子之單孫 生長膝下 情愛倍
他分叱不喩 早有室家 旣生男子 繼世可期 又中
監試 喜悅如何 老病之中 無以慰答 玆將新婢
永環一所生婢銀環年甲子生 同婢一所生婢梅環壬午
生 二所生奴銀男丙戌生 三所生婢梅月庚寅生 四所生
銀峯辛卯生 五所生奴銀石今年生 及後所生率
良旀 衿得慶州良佐洞 武丁員畓十七斗落只浦旨員
畓五斗落只 蛇洞員畓六斗落只 沙洞員畓一石落只
基川員田二十三斗落只等庫 奴婢幷六口乙 永
別給爲去乎 鎭長耕食使喚事

財主 祖母 李氏
筆執 同姓三寸姪子 幼學李垙(수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