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22년 김상욱(金相頊) 서간(書簡)의 별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922.0000-20090831.D48860540-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상욱
작성시기 1922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922년 김상욱(金相頊) 서간(書簡)의 별지.
1922년(임술) 10월 7일에 김상욱(金相頊)김인섭(金麟燮) 집안으로 보낸 편지의 별지이다. 상대편의 화갑을 축하하는 시를 기록하였다. 7언 율시 1수로 ‘년(年)’자만을 운자로 써서 지은 시로. 한 글자만을 운자로 사용하는 것을 몰운(沒韻)이라고 하는데 화갑(華甲)을 축하하는 시에 흔히 쓴다.
1차 집필자 : 김남규, 2차 집필자 : 오덕훈

상세정보

1922년(임술) 10월 7일에 김상욱(金相頊)김인섭(金麟燮) 집안으로 보낸 간찰의 별지로 화갑을 축하하는 시.
내용 및 특징
1922년(임술) 10월 7일에 金相頊단계 김인섭(1827~1903) 집안으로 보낸 간찰의 별지이다. 상대편의 화갑을 축하하는 시를 기록한 詩稿이다. 7언 율시 1수로 ‘年’자만을 운자로 써서 지은 시이다. 한 글자만을 운자로 사용하는 것을 沒韻이라고 한다. 이 시는 華甲을 축하하는 의례적인 내용이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 「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勿窩先生文集』, 김상욱, 남명학고문헌시스템
1차 집필자 : 김남규, 2차 집필자 : 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22년 김상욱(金相頊) 서간(書簡)의 별지.


華甲重回嶽降年 人生五福
最高年 莪懷縱倍劬勞日
棣樂猶全晩暮年 榮辱相
忘能遯世 神形不弊是延年
床琴已翕庭鸞舞 一室
風流足百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