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3년 이교명(李敎明) 서간(書簡)의 별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913.0000-20090831.D48860535-2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교명
작성시기 1913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913년 이교명(李敎明) 서간(書簡)의 별지
1913년(계축) 4월 22일에 李敎明金麟燮 집안으로 보낸 편지의 별지이다. 일전에 자계(紫溪) 박일우(朴一友) 어른이 와서 옛날이야기를 하다가, 계에 들고 싶다는 뜻을 밝혔었는데, 그 뒤로 소식이 없다는 상황을 전하고, 상대방이 혹시 그 사람을 만나거든 곁에서 권고하여 이 어른을 계의 우두머리로 삼는 것이 어떻겠냐고 물었다. 본래 편지에서 언급한 심정계(心亭稧)에 박일우(朴一友)라는 인물을 계의 수장으로 삼으려는 뜻을 간략하게 전했다.
1차 집필자:김남규 , 2차 집필자:오덕훈

상세정보

1913년(계축) 4월 22일에 이교명(李敎明)김인섭(金麟燮) 집안으로 보낸 간찰의 별지로 자계(紫溪) 박일우(朴一友)라는 사람을 언급하면서 상대방의 권고를 통해 이 사람을 계의 수장으로 삼으려는 뜻을 전하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913년(계축) 4월 22일에 李敎明金麟燮(1827~1903) 집안으로 보낸 편지의 별지이다. 일전에 紫溪 朴一友 어른이 와서 옛날이야기를 하다가, 계에 들고 싶다는 뜻을 밝혔었는데, 그 뒤로 소식이 없다는 상황을 전하고, 상대방이 혹시 그 사람을 만나거든 곁에서 권고하여 이 어른을 계의 우두머리로 삼는 것이 어떻겠냐고 하였다. 본 편지에서 언급한 心亭稧에 朴一友라는 인물을 계의 수장으로 삼으려는 뜻을 전하는 것으로 간략하게 적었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 ,「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俛宇集』, 곽종석, 남명학고문헌시스템
1차 집필자:김남규 , 2차 집필자: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13년 이교명(李敎明) 서간(書簡)의 별지


日前 紫溪 朴丈一友 顧於心亭 多說昔時之事 而亦有
欲入契案之意 感矣乎感矣乎 然伊後聲息落落 可恨可恨
伏乞門下或見此丈 從傍勸告 而使此丈亦爲契首 如何
如何 日間一進軒右 拜白伏計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