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00년 계구(戒懼)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900.4889-20090831.D48860511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박효영, 김인섭
작성지역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작성시기 1900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900년 계구(戒懼) 서간(書簡)
1900(고종 37)년 2월 10일에, 戒懼 朴孝英端溪 金麟燮(1827~1903)에 보낸 편지이다. 상대방에 대한 간절한 그리운 마음과 그 가족들의 안부를 두루 물었다. 자신은 연말에 형의 장녀가 죽은 원통함에 숙병이 심해져서 매우 괴롭다는 근황을 전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봄부터 산 아래 새로 작은 집을 몇 칸을 지어 ‘계구(戒懼)’라고 편액(扁額)하였음을 밝히고, 언제 그곳에서 만나 함께 즐기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아직 그 집은 완성되지 않았으나, 많은 친구들이 찾아와 시를 지어 주었다고 하며, 자신이 지은 原韻詩를 별지에 적어 보내며, 은근히 차운하여 시를 지어 주기를 청하였다. 계구당박효영이 현재의 합천군 삼가읍輪山자락에 지은 집으로, 면우 곽종석이 쓴 『戒懼堂銘』이 있다. 계구당원운(戒懼堂原韻) 시를 적은 別紙가 있다.
1차 집필자:김남규 , 2차 집필자:오덕훈

상세정보

1900(고종 37)년 2월 10일에, 戒懼 朴孝英端溪 金麟燮(1827~1903)에 보낸 간찰.
내용 및 특징
1900(고종 37)년 2월 10일에, 戒懼 朴孝英端溪 金麟燮(1827~1903)에 보낸 간찰이다. 한 번 만난 지가 몇 년이 되어서 늘 간절히 그리운 마음을 전하였다. 이어 봄이 깊어 가는데 이때 잘 지내는 지 상대방과 가족들의 안부를 두루 물었다. 자신은 연말에 형의 장녀가 죽어서 원통함을 말로 할 수 없는데, 이로 인해 숙병이 심해져서 매우 괴롭다고 근황을 전하고 있다. 그리고 늙어가며 할 일이란 조용히 친구들과 안정하며 사는 것이라고 생각되어, 지난봄부터 산 아래 새로 작은 집을 몇 칸을 지어 ‘계구(戒懼)’라고 편액(扁額)하였음을 밝히고, 언제 그곳에서 만나 함께 즐기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아직 그 집은 완성되지 않았으나, 많은 친구들이 찾아와 시를 지어 주었다고 하며, 자신이 지은 原韻詩를 별지에 적어 보내며, 은근히 차운하여 시를 지어 주기를 청하였다. 계구당박효영이 현재의 합천군 삼가읍輪山자락에 지은 집으로, 면우 곽종석이 쓴 『戒懼堂銘』이 있다. 계구당원운(戒懼堂原韻) 시를 적은 別紙가 있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 ,「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輪山集』, 박효영, 남명학고문헌시스템
『俛宇集』, 곽종석, 남명학고문헌시스템
1차 집필자:김남규 , 2차 집필자: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900년 계구(戒懼) 서간(書簡)
[피봉]
수신 端溪經座下
발신 傅巖候書
謹封
[본문]
省式
一晤高軒 今幾年矣 憧憧戀
想 無日不切 老去親友見相常
稀 雖無不思 而每於同庚友 思
必有倍 未知同我有此等懷耶
見今春意方殷 伏惟玆辰
靜養經體 循序連旺 而榟房
善侍 庇下均安 第切企祝 如英者
老不死之物 歲底不意兄長女之
寃逝 如是逆理之變 世或有之
而憤慟之極 雖欲自寬 不得而彌
留 舊恙以之新劇 此皆見理不明
故也 甚甚苦苦 餘外繁冗 不欲煩人
道耳 自念老年所欲 無復他策 而
莫非就靜安居 與知舊交遊以絡
餘 今之爲愈 故始於前春 構數間屋
於山邊一隅 屋柱無觀 而地甚幽闃
可老者之居也 屋不可以無名 則
扁楣戒懼 屋未盡就 而親友之
來觀者多 而贈之以詩者亦多 眞
所謂詩成屋未就也 何由奉叙
相看相笑 共懽於斯屋之上也
餘所欲言者不一 而神昏身疲 都
留只此 不備
庚子 二月十日 損弟 朴孝英 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