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KSAC+A01+KSM-XF.1870.0000-20090831.E47840172_0-DES.BSC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70.0000-20090831.E47840172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충거, 이원조
작성시기 1870
형태사항 크기: 3143.5 X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KSAC+A01+KSM-XF.1870.0000-20090831.E47840172_0-DES.BSC
1870년(고종 7) 12월 그믐 충거(忠擧)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자신의 고모가 돌아가신 소식과 상대가 높이 승진한 일을 축하하는 간찰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KSAC+A01+KSM-XF.1870.0000-20090831.E47840172_1-DES.INF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70년(고종 7) 12월 그믐 충거(忠擧)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내용 및 특징
1870년(고종 7) 12월 그믐에 충거(忠擧)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이다. 발신자의 성(姓)은 기록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정보는 알기 어렵다. 다만 이원조가 79세 되던 해로 쇠약한 노년의 나이에 접어 든 때였다. 한 해가 저물어가 그리웠는데 생각지도 못한 심부름꾼이 와서 기뻤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잘 지내는지 상대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집안이 불행하여 자신의 고모의 초상을 만나 비통하지만 식구들은 그런대로 지내고 있어 그나마 다행으로 여긴다고 하였다. 서울은 언제쯤 출발하는지, 오늘은 서울로 들어갔는지 안부를 묻고 이번에 높은 벼슬을 차지한 것을 축하하였다. 1869년(고종 6) 문과에 이원조가 문과에 급제한지 60년이 되는 해로, 나라에서 정헌대부(正憲大夫)가 내려졌었는데, 이 사실을 이야기 하는 듯하다. 자신은 여가가 없어 뜻대로 되는 일이 없다고 하면서 내년 봄에 좋은 자리 자리에 마땅히 나아갈 생각이니 헤아려 달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당시 이원조가 높은 자리로 승진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凝窩年譜」, 이원조, 『凝窩全集』,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KSAC+A01+KSM-XF.1870.0000-20090831.E47840172_0-DES.BSC

[피봉]
湑君奉狀

[본문]
省 歲律將暮 懷
緖倍切 意外伻來
足爲新舊 感喜
固倍 薄暮
侍餘 棣履 連衛穩宣
各節日晏 仰慰荷
禱 生 家庭不幸
遭姑母喪 悲痛不可形言
而但似有安眷依 是爲
私幸

金行 何時發程 卽今 果
入來乎 今番高參豫 爲
只祝只祝耳 一旺之敎
崇 次示之報 身無暇 未制
如意 無心非情 可爲難免
歎何奈 明春好筵
之席 當晋參爲計
以此諒之如何
餘歲除
只隔 迓新百福 不卽答
癸巳十二月晦日 生
忠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