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9년 김희영(金熙永)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69.0000-20090831.E47840171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희영, 이원조
작성시기 1869
형태사항 크기: 58 X 80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69년 김희영(金熙永)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69년김희영(金熙永)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아들이 일찍 죽은 것에 대한 위로하는 내용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69(고종 6년)김희영(金熙永)판서(判書)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아들이 죽은 것에 대한 위로하며 보낸 간찰.
내용 및 특징
1869(고종 6년)김희영(金熙永)판서(判書)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아들이 죽은 것에 대한 위로하며 보낸 간찰이다. 이 해는 이원조가 과거에 문과(文科)에 급제한지 60이 되는 해이다. 상대의 아들이 갑자기 죽은 것에 대한 위로의 서찰로, 상대의 아들이 비록 오랜 병을 앓고는 있었지만 신의 도움으로 회생하리가 희망했었는데 끝내는 올해 이 같은 지경에 이르렀으니 자식에 대한 지극한 사랑이 80노인의 쇠약한 몸으로 어떻게 견딜지 염려하였다. 다만 이 같은 역리(逆理)의 회포를 견딜지 걱정하였다. 요사이 발을 다쳤다는 소식을 들었는지 정말인지, 빨리 회복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자신은 요사이 붉은 설사를 하여 몸이 지치고 아이들은 관광(觀光)하러 갔다가 돌아오지 않았다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당시 이원조의 아들이 요절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凝窩年譜」, 이원조, 『凝窩全集』,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9년 김희영(金熙永)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피봉]
狀上
李判書縗服座前 省禮謹封

[본문]
省禮言 天不悔禍於種悳之家
令胤兄寃逝 痛悼何言 雖知病勢之沈綿
而倘賴神明之佑 庶冀回春之望矣 竟當
今年 而至於斯
止慈收隆 八耋衰膓 何以堪遣 第惟慰譬
僉胤 在令彧承家幹蠱 則豈可以逆理之懷 過
爲悲傷也哉 不審
服體何如 卽聞間有下堂之憂 雖未知的否 而
快趂復常 母損悲疚之餘耶 仰爲悲㴑
不任下忱 侍生降服人 赤泄間谻 兒輩俱去觀
光 而不還 未能趂送晋慰 安可具事訖之會
乎 恨恨 餘衝昏 不備謹狀上

服照 謹再拜狀上
己巳三月二十五日 侍生 降服人 金熙永狀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