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8년 정경(鄭{土+敬})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68.0000-20090831.E47842178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경
작성시기 1868
형태사항 크기: 14 X 28.5
장정: 낱장
수량: 2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68년 정경(鄭{土+敬}) 서간(書簡)
1868년(고종5) 세하생(世下生) 정경(鄭(土+敬))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 규보(圭甫)의 일로 과도한 거동이 있었는데, 규보(圭甫)도 뉘우칠 것이라고 하고, 청천서원(晴川書院)에서 일어난 변고는 한 고을이 문을 닫고 들으려 하지 않으니 한심한 것이라는 내용.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星山李氏世譜3』, 이원조,
KSAC+A01+KSM-XF.1868.0000-20090831.E47842178_0-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68년(고종5) 세하생(世下生) 정경(鄭(土+敬))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로 규보(圭甫)의 일로 과도한 거동이 있었는데, 규보도 뉘우칠 것이라고 하고, 청천서원(晴川書院)에서 일어난 변고는 한 고을이 문을 닫고 들으려 하지 않으니 한심한 것이라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68년(고종5) 세하생(世下生) 정경(鄭(土+敬))이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이다. 수신자가 적혀있지 않지만,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의 건강을 묻고, 또한 팔십 노인을 모시는 형편이 심히 울적할 것이라고 한 부분을 보면, 수신자는 이원조의 자식 중에 한 사람인 것으로 추정된다. 1868년은 이원조가 77세 되던 해이다. 규보(圭甫)의 일로 과도한 거동이 있었는데, 규보도 뉘우칠 것이라고 하였다. 이어서 부형(父兄)의 도리에 있어서 지나친 논리를 말하는 것은 여덟 세대가 한 울타리에 사는데, 어찌 한 소년이 벌인 일 때문에 서로 옮겨가려고 하냐고 물었다. 청천서원(晴川書院)에서 일어난 변고는 한 고을이 문을 닫고 들으려 하지 않으니 한심한 것이라고 전한다.
자료적 가치
별지의 내용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없고, 다만 규보라는 인물과 청천서원에 관련된 예민한 사인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 19세기 성주지방의 청천서원의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星山李氏世譜3』, 이원조,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8년 정경(鄭{土+敬}) 서간(書簡)

[별지]
昨聞士均來傳 以圭甫之故 貴中僉論有過
重之擧云 大抵圭族失道 至今所共責 而渠亦
不無悔過之意 豈敢終始相折 且
大監豈有相較之道 但想在下而爲 父兄之道發
此過論八世同室垣 何可以一少年之故 斷然
相移哉 川院之變 一鄕閉戶 此亦豈不寒心也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