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7년 황규현(黃奎鉉)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67.0000-20090831.E47840307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황규현
작성시기 1867
형태사항 크기: 29 X 41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67년 황규현(黃奎鉉) 서간(書簡)
1867년(고종 4) 표종제(表從弟) 황규현(黃奎鉉)이 보낸 서찰로 행직(行職)을 받아 축하한다는 인사와 종수씨(從嫂氏)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67년(고종 4) 표종제(表從弟) 황규현(黃奎鉉)이 보낸 서찰로 행직(行職)을 받아 축하한다는 인사와 종수씨(從嫂氏)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내용 및 특징
1867년(고종 4) 표종제(表從弟) 황규현(黃奎鉉)이 보낸 서찰로 행직(行職)을 받아 축하한다는 인사와 종수씨(從嫂氏)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세전에 상소는 듣고서 알았다고 하였다. 나이 80의 행직(行職 : 품계는 높으나 직책은 낮은 벼슬을 통틀어 이르는 말)은 세상에 드문 것이니 기쁨을 이길 길 없다고 하였다. 세월은 쉽게 지나가 현합부인(賢閤夫人) 종수씨(從嫂氏)의 종상(終祥)이 임박하니 아내를 잃은 슬픔을 어찌 견디느냐며 위로하였다. 새해에 태감(台監)은 건강하게 지내고 상대의 아들의 아들도 잘 지내고 중계(中季)의 아들도 중요한 일을 담당하여 슬프고 그립다고 하였다. 애종제(哀從弟)는 겨울을 보내고 세월을 보내면서 선원에서 따뜻하게 보내면서 진무(晉懋)와 상종하면서 두 늙은이와 마주하고 날마다 시골 소년들과 함께 세상의 근심을 보내고 있다고 하고 있으니 이달 15일에 집으로 돌아간다고 하였다. 봄추위가 아직도 매서운데 부엌과 상이 서늘한데 이전 말씀드린 것과 같다고 하였다. 봄을 보낼 계획은 상대의 큰 덕의 부치고 싶은데 찾아가고는 싶지만 말을 구하기 힘들어 생전에 한번 만나 보는 것도 싶지 않으니 굶주리고 어는 것이 나의 분수인지 안타까워하고 있다. 해마다 은혜를 베풀어 준 것은 골수에 새겨 감히 잊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 지금 또 굶주린 귀신이 되지 않는 것도 오직 대군자(大君子)가 덕으로 덮어주는데 있을 뿐이니 헤아려 달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수령인이 당시 수직(壽職)으로 벼슬이 내려졌음과 벼슬아치이면서도 끼니를 해결하지 못한 가난한 선비의 생활을 엿볼 수 있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7년 황규현(黃奎鉉) 서간(書簡)

[피봉]
謹拜上候書
[본문]
歲前封疏 聞而知之 八十行職
稀世所有不勝欣聳 日月
易過
賢閤夫人 從嫂氏 終祥 迫近叩
盆悲悼 何可堪居 伏惟新元
台體候神護萬康 胤姪僉制
支安 中季允 亦當承重遠 爲悲?
切切不任 哀從弟 經冬過歲 先院
?室 與晉懋從相 對兩衰翁 日
與邨少年 消遣世慮 而歸家

今十五日也 春寒尙稍 寒廚冷床 如前日
稽也 奈何 經春之計 欲附於大德之下 而欲

步難進 欲騎難得 生前一奉 實所不易 坐
飢坐凍 是吾分事耶 逐年受惠 吾亦
銘骨 而不可敢忘也 今又不爲之飢魂者 惟在
大君子之德覆耳 下諒千万切仰 餘呼
?不備 伏惟
丁卯 元月 二十日 哀從弟
黃奎鉉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