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5년 이승보(李承輔)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65.0000-20090831.E47841186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승보, 이원조
작성시기 1865
형태사항 크기: 31.5 X 43.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65년 이승보(李承輔) 서간(書簡)
이원조(李源祚)장윤(長尹)으로 특별히 발탁된 것에 대해 영광과 감격을 비할 바가 없다고 하였다. 자신은 선조의 묘당 종향의 명을 받아서 사사로운 정으로는 감격과 서글픔을 말 할 수 없다는 간찰.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65년(고종2) 시생(侍生) 이승보(李承輔)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당신이 한성부판윤(漢城判尹)으로 발탁된 것에 대해 축하를 드려야 하지만, 휴가를 낼 틈이 없어 서찰로 대신하다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65년(고종2)에 시생(侍生) 이승보(李承輔)한성 부판윤(漢城府判尹)으로 발탁된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 간찰은 날짜와 수취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다만 피봉에 판윤댁, 그리고 내용에 장윤[長尹 : 한성부판윤]이라고 기재 되어있다. 이원조의 『연보』를 살펴보면 그는 1865년(고종2) 1월에 한성판윤으로 발탁되었다가 다음 달 2월에 용양위대호군지의금부사지춘추관사에 임명되었다. 따라서 이 간찰은 1865년 1월 중에 작성된 듯하다. 장윤(長尹)으로 특별히 발탁된 것에 대해 영광과 감격을 비할 바가 없다고 하였다. 자신은 선조의 묘당 종향의 명을 받아서 사사로운 정으로는 감격과 서글픔을 말 할 수 없다고 전한다. 끝으로 나아가 축하를 드려야 하지만 휴가를 낼 틈이 없어 서찰로 대신한다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간찰(簡札)은 서찰(書札)·편지(便紙)·간독(簡牘)·서간(書簡)·척독(尺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고대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 내용은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 등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어서 인간사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 이 자료는 이원조한성부판윤으로 발탁된 것에 대해 진심으로 축하를 하고 있다. 실로 교제의 따뜻한 정을 느낄 수 있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5년 이승보(李承輔) 서간(書簡)

[피봉]
수신, 上候書 判尹
[본문]
長尹
特擢 伏想榮感無比 伏
惟日來
台體候萬安 伏溯區區 不任下
忱 還第行次 勢必停止
而這間倘無掣碍否 侍生
依昨 而昨承先祖從享
廟庭之
命 情私榮愴無以形告 宜
卽進賀 而無暇抽隙 末

由如誠 先此替探 不備爲禮
是日 侍生 李承輔 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