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5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별지(別紙)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65.0000-20090831.E47841157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원조
작성시기 1865
형태사항 크기: 23.5 X 34.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65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별지(別紙)
세금을 포탈한 농리(農吏)를 놓아주지 말아야 하고, 농리(農吏)술갑(述甲)과 이방 자리를 두고 다투는 자가 그를 비난한다고 하는 내용의 별지.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KSAC+A01+KSM-XF.1865.0000-20091071.E47841157_0-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65년(고종2) 하생복인(下生服人) 이원조(李源祚)가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로 세금을 포탈한 농리(農吏)를 놓아주지 말아야 하고, 농리(農吏)술갑(述甲)과 이방 자리를 두고 다투는 자가 그를 비난한다고 하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65년(고종2) 하생복인(下生服人) 이원조(李源祚)가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이다. 두 농리(農吏)가 모두 이미 세금을 포탈하였는데, 죄수를 놓아주는 것이 마땅하지 않다고 하여 여러 아전들과 이견이 있다고 하였다. 농리술갑(述甲)이방(吏房)으로 삼으려고 하는데, 그의 임명을 반대하는 아전이 여러 아전들의 비리를 모두 그에게 뒤집어씌우려고 한다고 전한다. 이에 간사한 아전들이 벌인 일 때문에 마을의 실정이 원통함을 하소연하지 않음이 없다고 하였다. 이어서 자신의 견해는 여론과 합치 된다고 전한다.
자료적 가치
조선 후기는 수령과 아전들의 조세 포탈과 농민 수탈 때문에 농민의 생활이 매우 곤궁하고, 이에 따른 불만이 매우 고조되었다. 이 시기에 농민 중에 유민이 되거나, 혹은 화적이 되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이는 결국 농민봉기로까지 이어져 조선의 체제를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 별지는 아전의 비리를 말하고 있다. 특히 간사한 아전의 비리로 인해 마을 백성들의 원성이 높다는 언급에서 간사한 아전들의 비리가 어떠하였는가를 볼 수 있다. 아전들의 실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5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별지(別紙)

農吏 俱已畢逋 放囚不
宜 與諸吏異同 且農述甲
吏房 爭任者所構捏 欲
絶其更入之路 而以無所執言
之故 都聚群吏罪犯 爲一大
套而冒之曰 多年由吏 渠無
發明之道云 明知爲數三奸吏
之所爲 閭里物情 莫不稱寃
猥貢愚見 實出輿議
下諒幸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