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5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65.0000-20090831.E47841157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원조
작성시기 1865
형태사항 크기: 32 X 50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65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먼 길가는 당신이 편안한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다. 이어서 별지(別紙)에서 아뢴 내용은 조금도 사사로움이 없고, 정사(政事)를 도모하는 체모가 응당 이와 같아야 한다고 하였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KSAC+A01+KSM-XF.1865.0000-20091071.E47841157_1-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65년(고종2) 하생복인(下生服人) 이원조(李源祚)가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로 별지(別紙)에서 아뢴 내용은 사사로움이 없고, 또한 감옥에 가두어두었으며 모두 받치지 않은 자는 구별하지 않는다고 하니, 이 일로 명령을 내리지 않았는지를 묻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65년(고종2) 하생복인(下生服人) 이원조(李源祚, 1792~1871)가 수취자 미상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원조는 떠나가는 수레의 먼지를 바라보니 그리운 생각만 난다고 하고 행차에 임하여 수레가 소란하고 날은 저물었는데 몸은 괜찮은지를 물었다. 그는 별지(別紙)에서 아뢴 내용은 조금도 사사로움이 없고, 정사(政事)를 도모하는 체모가 응당 이와 같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제 들으니 감옥에 가두어두었고, 모두 받치지 않은 자는 구별하지 않는다고 하니 잘 살펴봐 달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간찰(簡札)은 서찰(書札)·편지(便紙)·간독(簡牘)·서간(書簡)·척독(尺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고대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 내용은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 등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어서 인간사의 모든 면을 담고 있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5년 이원조(李源祚) 서간(書簡)

[피봉]
발신, 謹拜狀上

[본문]
福星移躔 輿情俱悵 況
知契之厚 非尋常比 瞻望
車塵 第勞翹相 伏惟
臨行轅擾 侵暮 撼頓
台體候 莫無諐損否 區區
不任熲仰 源祚癃狀幸印
昨 而營窆自多愁 惱悶不足
仰浼 夾告 非或有毫私 政
體似應如是故 向有所面達
矣 今聞仍囚而 未畢納者 無所
區別云 倘未及發令否 更爲

下諒 幸甚 餘祝在途增護

還朝萬晏 不備伏希

台下察
乙丑三月卄二日 下生服人 李源祚 狀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