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63년 조기준(趙基駿)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63.0000-20090831.E47840329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조기준
작성시기 1863
형태사항 크기: 31.5 X 45.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63년 조기준(趙基駿) 서간(書簡)
1863년(철종 14)조기준(趙基駿)이 보낸 서찰로 일상의 안부를 전하는 내용이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63년(철종 14)조기준(趙基駿)이 보낸 서찰로 일상의 안부를 전하는 내용이다.
내용 및 특징
1863년(철종 14)조기준(趙基駿)이 보낸 서찰로 일상의 안부를 전하는 내용이다. 이번 여름의 혹독한 더위를 어떻게 견디는지 또 오랫동안 소식이 막혀 그리운 마음 금할 길 없다고 하였다. 그런데 즉일에 심부름꾼이 와서 보내신 서찰을 받고 위로가 되었다고 하였다. 체력이 건강치 못하여 평상의 건강을 회복하였다고는 하지만 걱정이 된다고 하였다. 식구들은 모두 잘 지낸다는 이를 축하한다고 하였다. 딸은 태기가 점점 진행이 되니 매우 기이하고 다행스럽지만 도리어 매우 머리가 무겁다고 하였다. 자신[査侍生]은 근래 아이의 목이 아프고 손자는 설사증세가 한 달 남짓이나 계속되어 안정될 때가 없다고 하면서 걱정하였다. 좁은 집에서 겪는 어려움은 예상은 했지만 스스로 취한 것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라도 하였다. 변란을 만난 고을은 시운이 아닌 것이 없는데 상대의 고을은 시끄러움을 종식되었는데 진실로 태감이 몸과 마음을 다하지 않았다면 어찌 이렇게 되었겠느냐고 하였다. 동천(東泉)의 강계(江界)는 실로 서로 아끼는 사이에서 나온 것이니 축하할 만한 일이라고 하였다. 서늘해지면 곧바로 한 번 나아가 찾아뵙겠다고 하면서 가을 세금거두는 일이 눈앞에 있으니 기필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부채 감하하고 20개의 계강환(桂薑丸)을 드리니 조리하시는 중에 입맛을 돋구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태지(胎紙)를 첨부하였다. 『국조보감(國朝寶鑑)』「정조조(正朝條)」에 “태묘의 헌관(獻官)에게 제호탕(醍醐湯)과 계강환(桂薑丸)을 하사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그리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을 아닌 것으로 추증이 된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당시 조기준(趙基駿)의 딸이 임신 중이며 계피와 생강을 섞어 만든 계강환(桂薑丸)보내 상대의 입맛을 돋우는 재료로 삼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63년 조기준(趙基駿) 서간(書簡)

[피봉]
令監謹候上狀
[본문]
客月之枉屈於龜峯也 非
但痘憂之相値 適有採薪 未
得進晤 遞付一書 亦歸後時
?恨尙耿耿 在中 近日旱
炎甚酷
令候得無損節
伯氏丈 患節狀 至完復 庇致
長第切吉 而婦阿 亦善在否 種
種 不任溯?之? 査弟 間連
功制 ?感難抑 而家兄 自龜
峯還後 眩氣漸甚 手足 又

從 而不仁 方試藥餌 而衰病 似難扶回

焦煎 不可形
言 痘事未
畢 不無離
?事之 愁惱
而已 奈何奈何
兒子 姑免恙
而以是之 故所
課未免虛送
亦可悶也 姑
俟憂虞之
稍定 欲一見

子婦 而抽身不易 當早
晏圖之耳 餘不備狀
年例淸風之惠 或可
記存否
乙巳六月望日 査弟功服人
張錫忠狀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