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별지(別紙).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5.0000-20090831.E47840282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재우, 이원조
작성시기 1855
형태사항 크기: 21.5 X 74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별지(別紙).
『대학(大學)』, 『중용(中庸)』, 『맹자(孟子)』 등의 서적에 대한 문의(文義)를 기록하고, 이원조에게 비평해 줄 것을 바라는 별지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KSAC+A01+KSM-XF.1855.0000-20090831.E47840282_0-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5년(철종6) 11월 초 6일, 시하생(侍下生) 이재우(李在羽)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강경(講經)에 대한 문의(文義)를 초록해 두었으니, 한 번 비평해 달라는 별지(別紙)
내용 및 특징
1855년(철종6) 11월 초 6일, 시하생(侍下生) 이재우(李在羽)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별지이다. 이재우는 별지에 문의(文義)를 기록하고, 이원조에게 보신 후에 비평해 줄 것을 바랐다. 별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善)과 악(惡)의 기미(幾微)가 갈라지는 것은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제1공부가 된다. 그러나 성현의 말씀은 악을 미워하는 것을 선을 좋아하는 것보다 먼저 말씀하셨다는 문장을 제시하고 맹자의 말로써 뜻을 새겼다. 이어서 『대학(大學)』은 ‘경(敬)’, 『중용(中庸)』은 ‘성(誠)’이라 말하고, 그 뜻을 밝혔다. 그리고 『맹자(孟子)』는 ‘의(義)’, 『논어(論語)』는 ‘인(仁)’, 『시경(詩經)』은 ‘성(性)’, 『서경(書經)』은 ‘심(心)’, 『 역경(易經)』은 ‘이(理)’, 『춘추(春秋)』는 ‘신(信)’ 혹은 ‘법(法)’, 『대기(戴記)』은 ‘예(禮)’, 『소학(小學)』은 ‘교(敎)’ 혹은 ‘학(學)’이라고 하며 한 글자로 규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렇듯 별지에서는 과거 공부에 대한 자료, 즉 강경(講經)에 대한 문의(文義)를 초록해 두었다.
자료적 가치
별지에 기록된 문의(文義)를 통해 고인들이 과거시험을 어떻게 준비하였는지, 또 경전(經傳)을 익힘에 있어 얼마나 치밀하고 엄격했던 가를 알 수 있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별지(別紙).

[별지]
文義
善惡 是人鬼關頭 故幾善惡 爲格致
第一工夫 然而聖賢語 以惡惡 先於善善
如堯舜典 誅四凶命九官 曰人心道心
如誠意章 如惡惡臭 如好好色 是也
敢起意曰 孟子言性善 復其性云 則
善常也 惡變也 若先救變而治之
則當復於善矣 彼本性之善者 安事
於治之哉 當緩而命復矣

大學總言敬字
敢起意曰 大學要旨 專在於格致誠
正 而皆以主一無適之敬 然後可以徹上下
成始終矣 自當以一敬字 言之矣

中庸言誠
敢起意曰 此篇 始一理 中萬事 末合
一理 則子程子言 而一者誠也之訓 皆
朱子之言 乃重言於三達德 九經章
註 則中散萬事者 亦不出一字 一者
果非誠字乎 自當以誠字 言之矣

二書誠敬字例言之 則六經 合有各一
字總括 而但二書爲繩貫不紊者矣 他經
則非一時一人之語 固難以如上二書 而一字
言之矣 聖賢書 文義自有古今之發前
未發者 鄕曲間 顧學者 何妨於講議
問難乎 自反無汰哉之罪 故敢以己意仰
稟經案下

孟子 似言一義字
論語 似言一仁字
詩 似言一性字 或情字
書 似言一心字 或政字
易 似言一理字
春秋 似言一信字 或法字
戴記 似言一禮字
小學 似言一敎字 或學字
下生 李在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