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5.0000-20090831.E47840282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재우, 이원조
작성시기 1855
형태사항 크기: 30 X 46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탐라록(耽羅錄)』을 빌려줄 수 있는지, 이연서원(伊淵書院)의 도회(道會)와 소행(疏行)은 괜찮았는지, 최치홍(崔致弘)의 서찰을 전하려 했는데 방문하지 않아서 전달하지 못했다는 등의 사소한 일상에 대해 묻고, 문의(文義)를 올리니 비평해달라는 내용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KSAC+A01+KSM-XF.1855.0000-20090831.E47840282_1-CNT.02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5년(철종6) 11월 초 6일, 시하생(侍下生) 이재우(李在羽)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탐라록(耽羅錄)』을 빌려줄 수 있는지, 이연서원(伊淵書院)의 도회(道會)와 소행(疏行)은 괜찮았는지, 최치홍(崔致弘)의 서찰을 전하려 했는데 방문하지 않아서 전달하지 못했다는 등의 사소한 일상에 대해 묻고, 문의(文義)를 올리니 비평해달라는 내용의 간찰
내용 및 특징
1855년(철종6) 11월 초 6일, 시하생(侍下生) 이재우(李在羽)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 간찰은 피봉에 아무것도 기입되지 않아서 수신자를 알 수 없다. 그러나 간찰에서‘인동(仁同)칠곡(漆谷)에 가면서 서쪽으로 가산(伽山: 伽倻山)을 바라보니, 우러러 사모하는 마음을 견딜 수 없으나, 큰 강[洛東江]이 앞에 막혀있습니다.’고 하였다. 가산성주군(星州郡) 수륜면(修倫面)과 맞대고 있는 가야산을 지칭하는 듯하고, 수륜면이원조가 살던 월항면(月恒面) 대포리(大浦里)와 이웃하고 있다. 그리고 월항면 대포리칠곡 사이에 흐르는 큰 강은 낙동강이다. 따라서 이재우이원조가 거처하고 있는 월항면 대포리를 바라보고 상대를 그리워하는 듯하다. 이재우는 당신이 저술한 『탐라록(耽羅錄)』을 빌려달라고 하였다. 『탐라록』이원조제주목사(濟州牧使)로 재직할 때 지은 저술로서, 제주의 역사, 풍습, 자연 등을 기록한 책이다.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보아 수취자는 이원조인 듯하다. 간찰 서두에서 큰 강[洛東江]으로 가로막혀 있어서 뵐 수없는 아쉬움을 토로하였다. 이재우『탐라록(耽羅錄)』은 예전에 약속을 받았기에 하인을 보내니, 아끼지 마시고 빌려 달라고 전한다. 그리고 이연서원(伊淵書院)의 도회(道會)와 소행(疏行)에 관한 정보를 물었다. 이재우는 막내 동생으로 하여금 대신 안부를 여쭈라고 하였는데, 제대로 실천했는지를 묻고, 또 최치홍(崔致弘)의 서찰을 전하려고 하였는데, 방문하지 않고 갔으니 긴급한 일이 있냐고 물었다. 끝으로 문의(文義)는 감히 저의 뜻을 기록하여 올리니 보신 후에 비평해 달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간찰(簡札)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 내용은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 등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어서 인간사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 그리고 이원조제주목사(濟州牧使)로 재직 중에 지은 『탐라록(耽羅錄)』이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 읽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5년 이재우(李在羽)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兩次納拜 一宵承誨 充然若飮河得飽
今因行 西望伽山 不勝景仰之忱 而
大江前阻 何異於隔靴爬痒 謹伏問頃
旆後 無溯寒餘害 而
經履觀玩 日向高明否 日前 逢上庠友
新谷路 槩聞其近候珍重矣 下生果
以經營之餘 來赴此處 而知華旆已
歷還矣 耽羅錄 旣承前約矣 借去一
奴 當不靳施 夜聞心彦氏語 錦山前觀
云 若留錄 幷賜一覽 如何 伊淵道會
如諭團完否 疏行姑倚否 令座進
參否 阿季見科 去而姑未知科成與否
可鬱 書留府谷 使之還留幾日 替兄晉
候 果踐其兄言否 崔友致弘書 想卽
傳 而此兄入境不訪而去 有甚緊急而然

耶 若納見煩望其付書 太偏之語也 前所謂
文義 敢錄鄙意以呈 覽後批評伏望 餘不

備 惟祝
葆重 以副時望

乙卯南至月初六日 侍下生 李在羽 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