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1년 이진상(李晉祥)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1.0000-20090831.E47840551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진상, 이원조
작성시기 1851
형태사항 크기: 32 X 42.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1년 이진상(李晉祥) 서간(書簡)
1851년(철종2년)이진상(李晉祥)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당시에 수신자는 만귀정(晩歸亭)에서 지내고 있었는데, 자신은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온 뒤로 가난에 시달리는 고통스러운 사정을 말하였다. 집안의 곤란한 정황을 하소연하는 별지가 있다.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KSAC+A01+KSM-XF.1851.0000-20090831.E47840551_1-DES.INF
1차 집필자: 심수철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1년(철종2년)이진상(李晉祥)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당시에 수신자는 만귀정(晩歸亭)에서 지내고 있었으며, 자신은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온 뒤로 가난에 시달리는 어려움을 말함.
내용 및 특징
1851년(철종2년)이진상(李晉祥)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이다. 당시 이원조는 나이 60세로 고향으로 돌아와 가야산 아래 만귀정을 짓고 노년을 지내고 있었다. 서찰의 내용은 벼슬을 그만 둔 후에 안부 편지를 하지 못하여 미안하다고 적고 자신은 지난 가을부터 지금까지 가난으로 칩거하고 있어서 계절을 느낄 만큼의 여유마저 없었으며, 방법이 없는 사람으로 졸렬하게 살아가는 고통을 이루 다 말할 수도 없는데, 갑자기 인편이 생겨 급하게 안부를 전함을 밝히고 자세한 용건은 서찰을 가지고 가는 자가 직접 구두로 전할 것이라는 내용이다.
자료적 가치
대개 벼슬살이 하며 자신의 영달을 도모하는 것과는 달리 이 서찰의 발신자는 벼슬을 그만둔 이후로 가난에 시달려 외출도 자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벼슬살이하는 동안 그만큼 청렴결백하였음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이다.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심수철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1년 이진상(李晉祥) 서간(書簡)

[피봉]
수신, 大蒲 令座下 執事
발신, 良洞 李弟 謹候書 謹封

[본문]
一自解紱 歲月匪寘 而未付一候 雖
緣無文 疎迃之致 而慊悵則深 謹未
審 正元
伯氏兄節宣晏重 胤兄僉侍一
穩 並溸區區之至
弟 自昨秋冬 生
長虞憂窠窒 不病之病 爲同倘仰
末由之人 身世之拙 已無容喩 重以
擾惱事端 方成晝夜心病 此何
生況耶 憤歎之極 不暇寒喧說去
耳 此姪以其仲叔家事猝
發云故 略筆顚末小呈 其詳
在口傳 不欲添口費說 餘不
備 伏惟
令下在
辛亥 元月 卄一日 弟 李晉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