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0년 정유성(鄭裕成)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0.4723-20090831.E47840298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유성, 이원조
작성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작성시기 1850
형태사항 크기: 32 X 47.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0년 정유성(鄭裕成)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이원조가 보낸 입암(立巖)의 시는 방(傍)․앙(仰)․항(亢) 3글자 가운데 앙(仰)자는 운자(韻字)에 어긋난 듯하다는 것과 시관(試官)이 어느 읍 출신인지 가르쳐달라는 간찰. 발신자와 수신자는 사돈 관계이다. 학문과 관직을 갖춘 사돈과 시문(詩文)을 토론하며 단순한 사돈 관계가 아니라 학문적, 인간적으로 교유하는 인맥을 형성하였다.
『東京通志』, 최준, 최남선, 정인보, 1933년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星山李氏世譜3』, 이원조,
KSAC+A01+KSM-XF.1850.4723-20090831.E47840298_1-DES.INFKSAC+A01+KSM-XF.1850.4723-20090831.E47840298_2-DES.INFKSAC+A01+KSM-XF.1850.4723-20090831.E47840298_3-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0년(철종1) 2월 8일에 사제(査弟) 정유성(鄭裕成, 1798~1861)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며늘아기의 산달이 다가오니 초조하며, 입암(立巖)의 시는 앙(仰)자가 운자에 어긋난 듯하다는 내용과 시관(試官)이 어느 읍 출신인지를 유념해달라는 내용의 간찰
『東京通志』, 최준, 최남선, 정인보, 1933년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星山李氏世譜3』, 이원조,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0년 정유성(鄭裕成)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피봉]
발신, 梅谷 弟謹候狀 謹封
수신, 一勝亭 政座下 入納

[본문]
竹長倉 卽已歸謁而上覆書 入覽否 更
伏惟間者
政體何如 嚮也微愆就妥
餘外衙節 又復何如 更切溸仰 弟印昨
而憂虞因仍 茶飯可苦 少輩科事 將
以數日間治發 誠爲撓蕩 亦可苦也耳 婦阿
姑無大頉 然月漸彌 頭恒重 而自昨脚
痛甚 例也 亦悶耳 其穉常講習 桁楊
勢 孟母之遷 良有以也 亦可笑也 寄送立巖
詩 逐篇吟誦 鏗然有餘響 其將傳諸無
窮 而但起予嚴之 傍仰亢三字中 仰似
違韻 旣是次韻 則非座下之失土管 而旣

而起疑 不能不仰拱耳 耳嚴新行 果以明日
治發否 念兄公私奔汨 常有代悶心耳

婦阿有所關於新行 且要探牙信
聞起一伻 略此修候 不備伏惟

令下在 謹候上
庚戌二月八日 査弟 鄭裕成
試官 姑未聞誰某可鬱而終副 亦出於何邑 留念伏望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