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0년 이계영(李啓榮)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316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계영
작성시기 1850
형태사항 크기: 31 X 43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0년 이계영(李啓榮) 서간(書簡)
1850년(철종 1) 기하(記下) 이계영(李啓榮)이 보낸 서찰로 상대의 중제(重制)를 위로하는 서찰이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0년(철종 1) 기하(記下) 이계영(李啓榮)이 보낸 서찰로 상대의 중제(重制)를 위로하는 서찰이다.
내용 및 특징
1850년(철종 1) 기하(記下) 이계영(李啓榮)이 보낸 서찰로 상대의 중제(重制)를 위로하는 서찰이다. 꿈에도 생각지 못했는데 중제(重制 : 거듭된 초상)를 당하여 매우 놀라우니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느냐고 하였다. 요사이 영감의 정사하시는 나머지 상복을 입고서 건강하다는 것을 알고는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자신은 보잘 것 없는 상황은 여전하고 부모를 떠나 있는 덩은 실로 감당하기 힘들다고 하였다. 정민(鄭民)이 욕을 당한 일은 어찌 헐후(歇後)하겠느냐고 하였다. 마땅히 엄중하게 잡아 들여야 하닌 헤아려 달라고 하였다. 자신은 우시(右試)로 외지에 있은 지 벌써 2년이나 되어 본래 안면이 없는데다가 누구와 친할 줄 모르니 어찌하겠느냐고 하였다. 달봉(達封)과는 혹시 안면이 있는지 자세히 모르겠다고 하였다. 사서 옮기는 일은 지난 번 영문(營門)으로부터 관문(關文)으로 물은 것이 있기 때문에 실상을 대답하였는데 돌아온 제사(題辭)를 보니 관문(關文)으로 재촉하였다고 하는데 과연 관문을 발송함에 자잘한 것들은 관장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처리하도록 하면 좋을 것 같다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당시 수신인의 집안에 중제(重制)가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0년 이계영(李啓榮) 서간(書簡)

[피봉]
謹拜謝上
[본문]
省禮 千萬夢想之外
重制 驚愕之極 復夫何
言 卽拜審 比來
令政餘 服體崇安 仰慰
區區 實副勞禱 記下劣狀
依昨 而離圍情事 實
難堪遣 鄭民逢辱事
豈可歇後也哉 當從重嚴

繩 諒之如何 右試 記下之在外者
已十年矣 素無面分 亦不知誰
某之親熟 奈何奈何 達封 似或
有面分 而此亦未詳知 可移貿事
向自營門 有所關問 故以實狀
答報矣 其回題見之 則方關促云
果爲發關也 零數使該掌 如
爲區處 似好耳 餘適擾 不備謝

庚戌二月十四日 記下 李啓榮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