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0년 이휘재(李彙在)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234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휘재, 이원조
작성시기 1850
형태사항 크기: 35.5 X 50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0년 이휘재(李彙在)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50년(철종 1)에 사하생(査下生) 이휘재(李彙在)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암행어사(暗行御史)의 서계(書啓)로 인한 결과 등에 관하여 애석해 하는 서찰이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0년(철종 1)에 사하생(査下生) 이휘재(李彙在)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암행어사(暗行御史)의 서계(書啓)로 인한 결과 등에 관하여 애석해 하는 서찰.
내용 및 특징
1850년(철종 1)에 사하생(査下生) 이휘재(李彙在)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암행어사(暗行御史)의 서계(書啓)로 인한 결과 등에 관하여 애석해 하는 내용이다. 지난 섣달 나아가 인사를 드린 뒤로 소식을 전하지 못하여 매우 죄송하다고 하였다. 더워지는 요즈음 고요히 정양(靜養)하시는 안부는 어떠한지, 식구들은 잘 지내는지 물었다. 수계(繡啓 : 암행어사로서 국왕에게 장계하는 것)의 제론(提論)이 비록 긴밀하고 중하지는 않지만 이미 해임(解任)의 명령을 받고서 집으로 돌아간들 개의치 않을 것이고 조용히 고향으로 돌아가는[賦歸] 것과 다름이 없으니 에연(恚然)함을 이길 길 없다고 하였다. 더군다나 앞으로 아전을 대해야 한다고 하니 여름 길 수고로움에 걱정이 된다고 하였다. 자신은 어버이의 병이 더하여 심한 병을 겪은 뒤로 기력이 소진되어 마음을 졸이고 지내지만 어찌하겠느냐며 스스로를 위로 하였다. 딸아이는 대단한 증상이 없지만 완전히 회복될 기미는 아직 없어 걱정이라고 하였다. 서찰을 보내 문안을 하여야 하지만 어버이의 병으로 여가가 없어 지금에야 소식을 전하니 매우 죄송하다고 양해를 구하였다. 부귀(賦歸)는 진(晉)도연명팽택령(彭澤令)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와 전원생활의 즐거움을 노래한 귀원전거시(歸園田居詩)를 가리키는 말로, 곧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으로 돌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쓰였다. 『왕조실록(王朝實錄)』 1850년(정조 1) 4월 18일 기록에 의하면, 경상좌도 암행어사김세호(金世鎬)가 서계(書啓)하여 경주부윤(慶州府尹)이원조(李源祚) 등을 죄주어야 함을 논하였다. 이후 이원조는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3년 후인 1853년에 좌승지(左承旨) 겸상의원부제조(兼尙衣院副提調)으로 관직에 복귀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당시 이원조의 집안이 풍산 유씨집안의 유주영의 딸을 며느리로 맞이하고 있는 상황을 알 수가 있다.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