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0년 정유성(鄭裕成)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210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유성, 이원조
작성시기 1850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0년 정유성(鄭裕成)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
1850년(철종 1)정유성(鄭裕成)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이다. 청도(淸道)의 수령에게 자식의 과거에 관한 일을 부탁함이 어떠할지 물은 내용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210_0-DES.INF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0(철종 1) 사제(査弟) 정유성(鄭裕成)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이다.
내용 및 특징
1850년(철종 1) 사제(査弟) 정유성(鄭裕成)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이다. 청도(淸道)의 수령과 비록 익숙한 정의(情誼)는 없지만 한번 만난 적이 있고 전형(銓衡)에서 함께 어려움을 겪은 터라 서찰을 보내어 아이의 과거(科擧)의 이에 관하여 말하면 어떠할지 되물었다. 이런 말은 자식을 대신하여 관직을 구하는 병통을 면치 못할 것이지만 집안이 매우 적막하기 때문에 이렇게 말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하여 정유성이원조(李源祚)에게 자신의 아들의 과거(科擧)에 관하여 부탁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凝窩年譜」, 이원조, 『凝窩全集』,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0년 정유성(鄭裕成)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

淸道倅許 雖無熟誼 旣有
一面 而彼此 俱經虎行於望 以
此作辭 而委人通信 而末以家
兒科事 言之 則如何 此等言不免
代子求官之病 然門戶極甚寂
之 故爲此猶言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