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50년 정유성(鄭裕成)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210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유성, 이원조
작성시기 1850
형태사항 크기: 25.5 X 3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50년 정유성(鄭裕成)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50년(철종 1) 사제(査弟) 정유성(鄭裕成)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일상의 안부 서찰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KSAC+A01+KSM-XF.1850.0000-20090831.E47840210_1-DES.INF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50년(철종 1) 사제(査弟) 정유성(鄭裕成)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일상의 안부 서찰이다.
내용 및 특징
1850(철종 1) 사제(査弟) 정유성(鄭裕成)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이다. 초막의 문에서 헤어지니 남다른 감회가 있는 것은 한미한 선비의 본래의 정일 것이라고 하면서 모녀(母女)는 어떠한지 안부를 물었다. 상대가 정사(政事)하는 상황을 묻고 복잡한 일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 정력(精力)을 많이 소모할 것인데 몸이나 상하는 근심은 없는지 걱정하였다. 또 이원조는 늘 공적인 큰 절개에 게으르지 않는데 60의 쇠약해져가는 나이라 젊었을 때와는 다르니 사랑하는 마음 깊어 걱정이 되니 사람 때문에 말까지 폐하지 말하고 하였다. 자신은 다행히 탈없이 들어왔지만 노새가 막 아문(牙門)을 나가 다리에 병이 들어 바꾸어 타고 가고 싶지만 이미 출발한 터라 천천히 이틀이나 걸려서 간신히 관문(關門)에 도착하였다고 하였다. 오래지 않아 되돌려주겠다고 하면서 내행(內行)은 날짜를 정하였는지 묻고 있다.
자료적 가치
「凝窩年譜」, 이원조, 『凝窩全集』,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50년 정유성(鄭裕成)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피봉]
一悰亭 政座下 入納
梅堂 謹候狀上

[본문]
强客牙閤 適添(糸+空)總 進款退悵 實
與衡門 逢別有異 寒士本情然耶
政體 受萬重 渾衙 都候武也 母女 皆何
如 竊(日+閒)兄候政視 撫簡潔精 當盤錯
可解 而但太費精力 不能無損害之慮
兄常自謂 無倦奉公大節 因當如是 然
六旬衰境 亦非氣力湧出之時 愛之深 故貢
觀至此 勿以人廢言如何 弟幸無事入來 而
但騾子 纔出牙門 蹇症大發 欲更還入換
騎 而旣發矣 寸寸徐徐 窮二日 而低艱關 可知其
騫 若久不差 則借來 且作虛事 匪久 當還
完也 內行 果以定日泮送耶 帶行欲臨時

眞送計 未知如意否 餘不備伏惟

令下照 謹候上狀
庚戌正月二十三日 査弟 鄭裕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