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9년 이정호(李鼎鎬)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49.4711-20090831.E47840333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정호, 이원조
작성지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작성시기 1849
형태사항 크기: 32.5 X 47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49년 이정호(李鼎鎬) 서간(書簡)
자신이 데리고 있는 죄수 송씨(宋氏)는 구류(拘留)만 하고 있으며, 또한 경주(慶州)에서 귀양살이 하는 윤씨[尹弁]를 잘 돌보아 달라는 내용.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의 사회는 서로 얽혀 있기 때문에 어려운 환경에 처했을 때는 주변 사람들에게 청탁하여 모면하려고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과 비리의 고리가 끊이지 않고 일어났던 정황을 엿볼 수 있다.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49년(헌종15) 5월 24일, 시생(侍生) 이정호(李鼎鎬, 1837~1919)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죄수 송씨(宋氏)는 구류(拘留)만 하고 있으며, 또한 경주(慶州)에서 귀양살이 하는 윤씨[尹弁]를 잘 돌보아 달라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49년(헌종15) 5월 24일, 시생(侍生) 이정호(李鼎鎬, 1837~1919)경주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죄수 송씨(宋氏)는 혹독하게 형틀로 가둘 필요가 없는데, 하물며 당신의 가르침이 있으니 구류(拘留)만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일성록』헌종14년 3월 9일 기사에 이정호흥해 군수(興海郡守)로 임명한다는 기록이 보인다. 따라서 그는 이때 흥해 군수로 재직 중이었다. 흥해는 현재 포항 옆에 군으로 이원조가 다스리는 경주부 와는 가까운 거리이다. 경주로 귀양 온 윤씨[尹弁]라는 양반이 있데 너그럽게 대해주어서 고독함을 면하게 해 달라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수신자는 발신자가 재직하는 지역의 옥에 갇힌 죄수에게 선처해 달라고 부탁하고, 발신자는 수신자가 재직하는 지역으로 유배(流配)간 양반을 잘 돌보아 달라고 부탁하는 사연이다. 수신자는 죄수와, 발신자는 유배간 양반과 서로 친밀하기 때문에 상호 청탁하는 입장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의 사회는 이렇게 서로 얽혀 있기 때문에 역경에 처했을 때는 주변 사람들에게 청탁하여 모면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정과 비리의 고리가 끊이지 않고 일어난다. 자세한 내막은 미상이나 이 서찰에 근거하여 어려움에 처한 지인에게 서로 편의를 보아달라고 청탁하는 조선 후기 관원들의 모습을 엿 볼 수 있다.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9년 이정호(李鼎鎬) 서간(書簡)

[피봉]
上謝書 [花押] 謹封

[본문]
俄候 想同時登
覽矣 卽伏承
下狀 謹審履熱
返次 無甚損節
視篆體度 不以勞撼
欠暀 何等伏慰之極 下生
一是前書所暴而已 宋
囚 雖無勤敎 不必毒
加刑囚 況有下示乎

見方拘留耳 貴府
適居之尹弁 伏望

賜款 俾得免踽涼
之地 如何 餘臨民劇
擾 姑不備
伏惟
下察 上謝
書禮

己酉五月二十四日
侍生 李鼎錞 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