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6년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별지(別紙)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46.0000-20090831.E47840094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권대긍, 이원조
작성시기 1846
형태사항 크기: 20.5 X 24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46년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별지(別紙)
1846년권대긍(權大肯)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로, 장현철(張鉉喆)을 제장(齋長)으로 삼아 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46년(헌종 12) 11월에 권대긍(權大肯)장현철(張鉉喆)을 잘 돌보아 달라며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別紙).
내용 및 특징
장군(張君)이 본부(本府) 제장(齋長)의 이름을 객지에서 과장하는 밑천으로 삼으려고 한다고 하는데, 이 빈 자리의 어려움을 알지 못하여 한 것이니 어렵지 않다면 자신의 체면을 보아 잘 돌보아 달라고 부탁하였다. 장군(張君)은 원폭(原幅)에서 추천하였던 장현철(張鉉喆)을 가리킨다. 재장(齋長)은 향교(鄕校)의 관리와 유생(儒生)의 교육업무를 담당하는 재관(齋官)으로 후대에는 전교(典敎)로 개칭되었다.
자료적 가치
이 별지를 통해 본부(本府) 제장(齋長)을 부탁한 사실을 알 수가 있다.
「凝窩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 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6년 권대긍(權大肯) 서간(書簡) 별지(別紙)

[별지]
本府 聞有齋長名色 而
張君 聊借暫時之啣 以
爲客土夸張之資云 未
知此窠之難易何居 而如
不甚難 看我特施 則
大善大善 苟或未諧 亦宛轉
曉喩 以示吾勤託之意 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