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41년 진고(鎭庫)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41.0000-20090831.E47840295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진고, 이원조
작성시기 1841
형태사항 크기: 36.5 X 50.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41년 진고(鎭庫)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
진고는 동쪽 지방의 백성이 올린 소장(訴狀)은 한 두 명의 불만을 느낀 무리가 옳지 못한 방법으로 남을 속이는 것이니, 개의(介意)치 말라고 하였다. 끝으로 보내준 3가지 물품은 잘 받았으니 매우 감사하다고 하였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41년(헌종7) 12월 12일, 아우 진고(鎭庫)탐라백(耽羅伯)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동쪽 지방의 백성이 올린 소장(訴狀)은 한 두 명의 불만을 느낀 무리가 남을 속이는 것이니, 개의(介意)치 말라는 답신.
내용 및 특징
1841년(헌종7) 12월 12일, 아우 진고(鎭庫)탐라백(耽羅伯:제주목사)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답신이다. 진고는 동쪽 지방의 백성이 올린 소장(訴狀)은 한 두 명의 불만을 느낀 무리가 옳지 못한 방법으로 남을 속이는 것이니, 개의(介意)치 말라고 하였다. 그리고 별지(別紙)를 받고서 집 밖의 모든 일을 깨닫지 못하여 어떻게 마음을 다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전한다. 끝으로 보내준 3가지 물품은 잘 받았으니 매우 감사하다고 하였다.
자료적 가치
마음으로 보낸 진귀하고 소중한 선물에 거듭 감사한다고 한다. 이를 통해 멀리 있는 친구와 마음이 담긴 소중한 물품을 주고받는 선조들의 마음을 알 수 있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41년 진고(鎭庫)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답신.

[피봉]
발신, 謹拜謝上
수신, 耽羅伯 執事 肅

[본문]
歲華將盡 隔海相思 逈分
殊域 曷不悵往 卽於便至
拜承審比間
政體動定 萬衛珍重 仰慰
且荷 弟病劣似昔 親節間承
安候 私幸 餘何仰聞 向者 東
民之訴狀 想是一二不樂之
徒 徒事挾雜之計 豈以是
爲白玉之微瑕 不足爲介者
耳 別紙拜悉 而一切於戶外
事 渾不省覺 未知何以

殊悶殊悶
惠寄三種 謹領多謝 只感心貺
之珍重也 金君作客何爲 歸期 當
在何間云耶 餘留祝 餞迓增休
不備謝禮
辛丑臘月十二日 弟 鎭庫 拜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