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31년 이준호(李竣祜)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31.0000-20090831.E47840587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준호, 이원조
작성시기 1831
형태사항 크기: 32 X 42.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31년 이준호(李竣祜)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1831년전북고창무장현감(茂長縣監)에 제수된 이준호(李竣祜)성균관 전적(成均館 典籍)으로 있던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이다. 조정에서 함께 근무하다가 외직으로 나가게 된 것과 상대방의 부탁으로 특별히 방면한다고 하였다.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KSAC+A01+KSM-XF.1831.0000-20090831.E47840587_1-DES.INF
1차 집필자: 심수철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31년전북고창무장현감(茂長縣監)에 제수된 이준호(李竣祜)성균관 전적(成均館 典籍)으로 있던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조정에서 함께 근무하다가 외직으로 나가게 된 것과 상대방의 부탁으로 특별히 방면한다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31년전북고창무장 현감(茂長縣監)에 제수된 이준호(李竣祜)성균관 전적(成均館 典籍)으로 있던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이다. 조정에서 함께 벼슬하는 동료들이 끊임없이 교체되는 것이 10중 8~9는 자신들의 의사와는 같지 않은데 뜻밖에 지휘관에 제수되는 것은 감사하고 축하할 일이지만, 백발(白髮)이 표연(飄然)한 이때에 오마(五馬)에 제수된 것이 영광스럽지만은 않음을 전하였다. 부탁한 일은 그 사람의 죄가 용서받기 어려우나 거듭 부탁을 저버리기 어려워 특별히 방면하였음을 밝히고 떠나기 전에 찾아뵙겠다고 하였다. 이준호는 1831년(순조31) 3월 21일 무장현감에 제수되었다.
자료적 가치
부서는 다르지만 함께 조정에 근무하던 동료애를 느낄 수 있으며, 외직으로 전근됨이 자신의 의사와는 무관하고, 가벼운 죄과는 동료의 부탁도 헤아리는 인간미를 느낄 수 있다.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심수철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31년 이준호(李竣祜)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

[피봉]
수신,
발신, 謹拜謝上 謹封

[본문]
自作寮員 意謂源源
於交遞之間 此亦不
如意者 十之八九 方切悵
誦 卽者
惠札披審
直候如昨萬安 慰荷慰荷
弟意表
除麾 感祝無地 而白髮
飄然 於五馬似非榮耀
奈何 敎事渠罪
雖極難貰 重違
勤敎 玆使特放耳

餘未發前 可以
進敍 不備謝
是日 竣祜 拜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