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6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26.0000-20090831.E47842003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김희신, 이원조
작성시기 1826
형태사항 크기: 35 X 55.5
장정: 낱장
수량: 2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26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상대방의 안부와 자신의 근황을 전한 뒤, 포보목(砲保木)기성목(騎省木)의 척(尺)당 가격을 정하고, 초택(初擇)에 응시한 합격자를 베껴서 별지로 보내겠다는 내용. 상소(上疏) 초고는 모두 살펴보았고, 장계(狀啓) 축(軸)도 적어서 올린다는 별지(別紙)가 있다.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凝窩先生年譜」,『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26년(순조26) 10월 23일, 인하(隣下) 김희신(金熙臣, 1761~?)결성현감(結城縣監)으로 있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로, 포보목(砲保木)기성목(騎省木)에 값을 정하고, 아울러 방안(榜眼)을 베껴서 별지(別紙)로 송부하겠다는 내용.
내용 및 특징
1826년(순조26) 10월 23일 인하(隣下) 김희신(金熙臣, 1761~?)결성현감(結城縣監)으로 재직 중인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간찰이다. 김희신서원에서 치룬 시험으로 인해 매우 고달프고 피곤하다고 하였다. 포보목(砲保木)의 값은 척(尺)당 10문(文), 기성목(騎省木)은 척당 9푼으로 값을 정하였는데, 결성현(結城縣)은 어떻게 값을 정하였는지를 물었다. 인근 고을에서는 자신과 비슷하게 책정하였다는 소식을 전하고, 초택(初擇)에 응시한 합격자를 베껴서 송부하겠다는 말로 끝을 맺었다. 상소(上疏) 초고는 모두 살펴보았고, 장계(狀啓) 축(軸)도 적어서 올린다는 별지(別紙)가 있다.
자료적 가치
포보목기성목의 척당 매겨지는 가격을 통해서 당시의 물가를 살펴볼 수 있으며, 아울러 19세기의 군정(軍政)에 대해서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응와 이원조의 삶과 학문』, 경상북도대학교 퇴계연구소, 역락, 2006
「凝窩先生年譜」,『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6년 김희신(金熙臣) 서간(書簡)

[피봉]
발신, 洪鄰謝書 謹封 [花押]
수신, 結城 政軒 執事 回納

[본문]
卽拜
惠狀恰慰 日前未盡之懷 謹審
初寒
聖上起居萬重 區區仰慰 隣下 累日試
院 喫盡無限困苦 費盡些少精
神 昨際出榜 憊困難振 軍布如
趙璧之求 還政如蜀道之險 令人催
老奈何
砲保木價 以每尺十文錢酌定 騎省
以每尺九分定價 已爲出令
貴縣 則將何以爲定耶 隣邑大槩
如是云耳 初擇榜眼 謄出胎送
姑不備謝式
丙戌十月卄三日 隣下 金熙臣

[별지]
疏藁覽完 狀軸題呈 而
少角槩在於已修之書
心昏神眩 未克拖長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