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6년 신이록(申履祿)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26.0000-20090831.E47840563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신이록, 이원조
작성시기 1826
형태사항 크기: 32 X 42.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26년 신이록(申履祿) 서간(書簡)
1826년(순조26) 10월 1일 신이록(申履祿)결성 현감(結城縣監)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자신은 8월 초에는 종정(宗正)에서 병조(騎曹)로 옮겼음을 전하고, 이광거(李廣居)는 곧 아계상공(鵝溪相公)의 종손인데, 노유(老儒)가 습오(拾鰲)의 계책을 세우니 잘 타일러 달라는 간찰.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심수철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26년(순조26) 10월 1일 신이록(申履祿)결성 현감(結城縣監)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로, 자신은 8월 초에는 종정(宗正)에서 병조(騎曹)로 옮겼음을 전하고, 이광거(李廣居)는 곧 아계상공(鵝溪相公)의 종손인데, 노유(老儒)가 습오(拾鰲)의 계책을 세우니 잘 타일러 달라는 간찰.
내용 및 특징
1826년(순조26) 10월 1일 신이록(申履祿)결성 현감(結城縣監)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이다. 오랫동안 막혀있어 서운하고 그리워서 지난번에 다스리는 지역의 유생 편에 올린 문안서찰은 받아 보았는지 묻고, 초겨울에 정무를 돌보는 체후가 만 가지로 보위됨을 살피고는 위로됨을 전하였다. 자신은 객지에서 벼슬살이 하는 형편이 한결같이 근심스럽고 괴로우며 8월 초에는 종정(宗正)에서 병조(騎曹)로 옮겼는데 부역이 극심하여 걱정됨을 밝혔다. 이광거(李廣居)는 곧 아계상공(鵝溪相公)의 종손으로 그의 범절은 말을 하면 알만한 인물이므로 다시 말할 필요가 없는데, 노유(老儒)가 습오(拾鰲)의 계책을 세우고 있어서 지극히 고민스러워 상대방을 만나보게 하려고 하니 문전박대하지 말고 잘 인도해주기를 당부하였다. 또 그의 재종(再從)인 광성(廣成)은 곧 자신의 재종매부(再從妹夫)인데 학문을 공부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의 면모를 알아두는 것이 좋을듯하여 함께 찾아뵙도록 할 테니 차례에 따라서 주선해 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자료적 가치
노유(老儒)가 분수에 지나친 과거에 장원급제하겠다는 꿈을 경계한 것을 볼 수 있다.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이원조,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심수철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6년 신이록(申履祿) 서간(書簡)

[피봉]
수신, 潔城 政閣 執事 入納
발신, 騎省 直中候狀 謹封

[본문]
久阻悵熲 嚮因治下徐
生便修候矣 想已
關聽矣 卽惟冬暄
政候萬衛 仰慰且溯 弟客
狀䆠味 一直擾惱 奈何 八
月初 自宗正 移拜騎曹
役甚劇 悶事悶事 就鄙鄕
友廣居甫
鵝溪相公宗孫
也 其凡節談次可知 不必申
溷 盖其老儒拾鰲之計
極悶然 今方委晉鈴下 須
卽延見 無使門外 可笑如何
不在此 屢屢一面可以如舊
想或黙諒 今日其再從
廣成甫 卽弟從妹夫 而此

則欲觀四書 而不可不知
面 故亦爲偕晉 更須隨

梯周章也 餘萬姑留續
候 不備狀禮
丙戌 十月 初吉 弟 申履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