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0년 유한원(柳漢源)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20.0000-20090831.E47840217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유한원, 이규진
작성시기 1820
형태사항 크기: 28 X 50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20년 유한원(柳漢源)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20년(순조 20)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유한원(柳漢源)이규진(李奎鎭)가 제수(祭需)를 빌려달라는 부탁에 답한 서찰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20년(순조 20)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유한원(柳漢源)이규진(李奎鎭)가 제수(祭需)를 빌려달라는 부탁에 답한 서찰.
내용 및 특징
1820년(순조 20)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유한원(柳漢源)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이다. 상대가 가까이 와있음을 알고 오랫동안 만나 뵙기를 바라던 것[識荊之願]을 이룰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 매일 그립다는 자신의 심경을 먼저 전하였다. 봄에 정사(政事)하시면서 잘 지내고 있는지 위로 되는 마음 지극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자신이 맡고 있는 부서는 머리 아픈 일들이 있는데, 요사이 외읍(外邑)의 고질병으로 이는 공통된 병환으로 함께 아파하는 탄식이 없을 수 없으니 어찌하겠느냐며 서로를 위로 하였다. 자신은 그런대로 지내고는 있지만 상대가 다스리는 고을은 자신의 영(營)과 서로 관련된 것이 그다지 많지 않으니 근심스럽지는 않지만 혹시라도 생각 밖의 단서가 있을 수 있으니 어찌 서로 의논하여 좋은 의논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였다. 저장해 둔 소고(艾膏 : 蕭艾膏膋의 준말로 蕭艾는 제사에 쓰는 나물, 膏膋는 제사에 쓰는 고기)가 거의 없는데 보내달라는 말씀에 얼마 남지 않은 것을 모두 보내지만 정성에 부족하다고 하였다. 이규진이원조의 양아버지로 1799년(정조 23)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역임한 후 황해도(黃海道)은율현감이 되어 주민교화(敎化)에 힘쓴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인물이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이규진(李奎鎭)이 제수(祭需)를 빌려 달라며 보낸 서찰에 자신도 얼마 남지 보관하고 있지 않은 물품을 보내는 인정을 엿볼 수 있다.
이원조, 『凝窩全集』,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전용신, 『韓國古地名辭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0년 유한원(柳漢源)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피봉]
殷栗政堂執事回納
水使謝書

[본문]
自伏聞
?蓋近臨 庶幾 遂識荊之願
景仰之誠 靡日不憧憧 卽伏拜
先施之辱 謹審春?
政候動定 榮衛萬重 何等仰
慰之至 第弊局貽惱 安得不然
旋切仰念 近來 外邑之痼? 固
知通患 而亦不無同病之歎 奈何
奈何 漢源 粗保?劣 餘何奉?
貴縣之相關於弊營者 別無多

何足慮也 而如或有
處外事端 豈無相

議好樣之道耶 艾膏
儲幾盡 勤敎至此 玆傾儲
仰呈 然誠欠少
也 餘在續候
不備伏惟

下照 謹謝候
庚辰二月六日 柳漢源 拜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