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20년 권비응(權丕應)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20.0000-20090831.E47840209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권비응, 이원조
작성시기 1820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20년 권비응(權丕應)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
1820년권비응(權丕應)채유후(蔡裕後)의 후손에 관하여 다툼이 있어 이를 알기 위해 이원조에게 알아주기를 바라는 내용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KSAC+A01+KSM-XF.1820.0000-20090831.E47840209_0-DES.INF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20년(순조 20)권비응(權丕應)정언(正言)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에 첨부된 별지.
내용 및 특징
1820년(순조 20)권비응(權丕應)정언(正言)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이다. 태지(胎紙)에서 보낸 내용은 잘 알았다고 하였다. 송경(松經)이 나온 뒤로 서찰을 받고 전지(銓地)를 형을 위해 공송(公誦)하고 어긋나지 않는다면 기미를 살펴 따로 부탁을 하겠다고 하였다. 자신은 늘 채(蔡)호주(湖洲) 채유후(蔡裕後)의 후손임을 알고 있었는데 근래 고을에 다툼이 있어 이 집안의 족보와 관계된 일인데 모두 후손이 아니고 진후(振後)의 후손이라고 하니 호주의 자손은 다만 채홍리(蔡弘履)뿐이니 과연 그런지 묻고 있다. 자세히 알지 않을 수 없는 일로 알려 달라고 하였다. 「응와연보(凝窩年譜)」에 의하면 이해 비로소 정언(正言)이 되어 성균관(成均館)에 들어갔다가, 7월에 지평(持平)으로 고향으로 돌아오는데 이 당시 받은 서찰로 보인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권비응(權丕應)이원조에게 채유후(蔡裕後)의 후손에 대한 다툼이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凝窩年譜」, 이원조, 『凝窩全集』,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20년 권비응(權丕應)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에 첨부된 별지.

胎紙謹審 而松經 已出之後
拜書 而此銓地 爲兄公誦 不是
齟齬 當相機另托 而每當
銓之時 常不如未常之前 是
未可知也
弟則常知湖洲裕後
之孫 近以此鄕 鄕爭事 有關
於此家係譜 而皆曰非湖洲
之孫 卽振後之孫云 湖洲之孫
只有蔡弘履而已 果然否 有
不可不詳知之事 幸詳探其
譜派 而示之 如何如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