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9년 정재홍(鄭在弘)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19.0000-20090831.E47840221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정재홍, 이규진
작성시기 1819
형태사항 크기: 25.5 X 32.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19년 정재홍(鄭在弘)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1819년(순조 19)정재홍(鄭在弘)이규진(李奎鎭)을 방문하러 가면서 보낸 서찰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19년(순조 19)정재홍(鄭在弘)이규진(李奎鎭)을 방문하러 가면서 보낸 서찰.
내용 및 특징
1819년(순조 19)정재홍(鄭在弘)이규진(李奎鎭)을 방문하러 가면서 보낸 서찰이다. 문은 나서니 봄이 벌써 저물어 가니 상대가 그립다는 말을 전하였다. 즉일에 아전을 지휘하여 상대가 다스리는 지역과 점점 가까워지니 매우 기뻐 달리 비교할 것이 없다고 하였다. 상대가 보내준 서찰과 시를 받고 감사하고 위로가 되었다고 하였다. 요사이 정사(政事)하시면서 잘 계시다는 상대의 안부를 알고는 매우 위로가 되었다고 하였다. 자신은 길을 나섰지 이틀밖에 되지 않았는데 벌써부터 피곤하고 길을 아득하여 매우 걱정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서로 만날 때가 이틀 밤 밖에 남지 않았지만 드디게 가는 봄날이 고통스럽다며 상대를 그리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밥 한 그릇, 나물 한 그릇의 시골음식만으로도 충분하지 굳이 고기반찬으로 예를 차릴 필요는 없다고 하면서 격식에서 벗어난 소박한 대접을 기대하였다. 피봉에 기록된 율천(栗川)은율(殷栗)의 다른 이름이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선비들 간의 교우(交友)가 마치 요즈음의 남녀간에 오가는 편지를 엿보듯 서로에게 나누는 정의가 깊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원조, 『凝窩全集』,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전용신, 『韓國古地名辭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9년 정재홍(鄭在弘)이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

[피봉]
栗川政牙執事回納
牧甘行客上候狀 謹封

[본문]
出門 春意?珊 瞻仰 政勞
卽者 揮吏來到 可想
貴境漸近 欣倒無比 ?承
下訊 幷以瓊什 感荷劇慰 謹
審 間來
政候動止万康 尤何等伏慰 記下
?行三日 已覺困頓 前道
渺然 悶切悶切 奉拜之期 ?隔三
宵 尙恨春日之苦遲 第延接
凡百 其何以應之耶 一盂飯

一盂蔬 政是山郡
風味 不必魚鼈爲禮

下諒如
何 餘
萬行
塵 未
宿?
掛漏
不備
伏惟

下察 謹拜上候狀
庚辰三月八日 記下 鄭在弘 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