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19년 이학수(李鶴秀)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819.0000-20090831.E47840218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학수, 이원조
작성시기 1819
형태사항 크기: 23.5 X 24.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19년 이학수(李鶴秀)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1819년(순조 19) 부사(副使)이학수(李鶴秀)정언(正言)이원조(李源祚)에 자신이 사신을 가는 상황을 알리는 서찰이다.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819년(순조 19) 부사(副使)이학수(李鶴秀)정언(正言)이원조(李源祚)에 자신이 사신을 가는 상황을 알리는 서찰.
내용 및 특징
1819년(순조 19) 부사(副使)이학수(李鶴秀)정언(正言)이원조(李源祚)에 자신이 사신을 가는 상황을 알리는 서찰이다. 오랫동안 서로 소식을 전하지 못했던 것은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하면서 상참(尙站)의 아전편에 보내신 서찰을 받고 좋지 않은 날씨에 부모를 모시면서 잘 지내고 있는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부사(副使)로 연경(燕京)을 다녀와야 하기에 남자로서의 바람[桑蓬之願]을 이루게 되었는데 병든 몸으로 둔한 몸을 이끌고 다녀올 생각에 미리부터 걱정이 된다고 하였다. 또 먼 길 떠나는[宿舂] 처지라 만나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여 서운하였는데 생각지도 않게 서찰이 받고 얼굴을 마주하는 듯하여 평상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기뻤다고 하였다. 보내주신 여러 가지 물건은 쉬운 것도 아니니 참으로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하였다. 『왕조실록(王朝實錄)』에 의하면 당시 이학수동지정사(冬至正使)홍희신(洪羲臣), 서장관(書狀官)권돈인(權敦仁)과 함께 청나라로 사신갔다 온 기록이 있다.
자료적 가치
이 간찰을 통해 이규진(李奎鎭)이 제수(祭需)를 빌려 달라며 보낸 서찰에 자신도 얼마 남지 보관하고 있지 않은 물품을 보내는 인정을 엿볼 수 있다.
「凝窩年譜」, 이원조, 『凝窩全集』,여강출판사, 1986
「凝窩 李源祚 先生 生平事蹟考」, 이세동, 『동방한문학12집』,동방한문학회, 1996
1차 집필자 : 박상수,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19년 이학수(李鶴秀)가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서찰.

[피봉]
栗冊 副行人謝狀
李正言 侍座回納
謹封

[본문]
阻懷 不須提說 尙站吏便
獲承
惠狀 就審乖候
侍履安重 願念之餘 曷
勝慰浣 賤狀 所謂燕?
之來 適可遂桑蓬之願
病骨驅頓 預覺關慮
將如何 宿?之地
不得奉敍 雖極?缺 而意外
華緘 可敵一面 客地欣豁

非比尋常也
寄惠諸種 眞是非夷

所思珍感中 不安
亦多 餘萬 只祝

侍候連安 不備謝儀

己卯十月念九日 鶴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