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795년 이규진(李奎鎭)이 이민겸(李敏謙)에게 보낸 간찰.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1795.0000-20090831.E47840292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규진, 이민겸
작성시기 1795
형태사항 크기: 26.5 X 29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795년 이규진(李奎鎭)이 이민겸(李敏謙)에게 보낸 간찰.
도목정사(都目政事)에서 신임 성주목사(星州牧使)구응(具應)이며, 주상께서 정리청(整理廳)의 공적(功績)으로 상을 내렸다고 하였다. 끝으로 진주(晉州)정재협(鄭在協)이고 영덕(盈德)이로수(李潞秀)라는 내용.
「凝窩先生年譜」,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農棲府君行狀」,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祖考四美堂府君行狀」,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1795년(정조19) 윤2월 18일, 아들 이규진(李奎鎭)이 아버지 이민겸(李敏謙)에게 이 달 17일 도목정사(都目政事)에서 성주목사(星州牧使)구응(具應), 진주(晉州)정재협(鄭在協), 영덕(盈德)이로수(李潞秀, 1752~?)로 교체된 사실을 알린 간찰.
내용 및 특징
1795년(정조19) 윤2월 18일, 아들 이규진(李奎鎭, 1763~1822)이 아버지 이민겸(李敏謙, 1736~1807)에게 보낸 간찰이다. 서찰 끝부분에 ‘규진(奎鎭)백시(白是)’라고 하였다. 백시는 ‘상백시(上白是)’의 줄인 말로, 웃어른에게 올리는 편지 첫머리나 끝에 쓰는 말이다. 따라서 이규진은 아버지 이민겸에게 올리는 서찰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규진은 자고 먹는 것이 한결같고, 곧 임금이 주관하는 응제(應製)가 있을 것 같다고 전한다. 이어서 행차하는 기일에 당나귀를 사든지 세를 내든지 간에 편의에 따라 하겠다고 하였다. 그는 이 달 17일 도목정사(都目政事)에서 성주목사(星州牧使) 가 교체되었는데, 신임 목사는 구응(具應)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주상께서 원행(園幸)하실 때에 정리청(整理廳)의 공적(功績)으로 상을 내렸다고 하고, 이어서 17인의 수령의 명단이 미리 나왔으나, 진휼(賑恤)을 다 마친 뒤에 내려 보낼 것을 명했다고 하였다. 끝으로 진주(晉州)정재협(鄭在協)이고 영덕(盈德)이로수(李潞秀)이며, 기타 17인이라고 전한다.
자료적 가치
당시의 인사관리와 지방관 파견에 관한 일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선비들이 비록 지방에 있지만, 여러 경로를 통해 중앙 정치 무대의 소식을 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들이 부친에게 중앙 관부의 소식을 전하여 줌으로써 정보를 공유하고 도움을 청하기도 하였다.
「凝窩先生年譜」,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農棲府君行狀」,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祖考四美堂府君行狀」, 이원조, 『凝窩全集』, 여강출판사, 1986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1795년 이규진(李奎鎭)이 이민겸(李敏謙)에게 보낸 간찰.


新恩便書 與泮主奴便書 已
入照否 書發後日多
兩位氣候若何 伏慕區區 無
任下誠 子眠食一如昨日 別無可
聞 三製令 尙未辦下 日間
似有迎鑾應製
歸期凡百 詳在前書二度
更不提告耳 行期與龍
甫致載 方經比果 買驢出
貰之間 隨便爲之爲計矣
今月十七日政 星牧遞改 新

倅 則具膺也 以園幸時 整理廳
功賞 十七倅預出 而畢賑後
當下送云耳 晉州鄭在協
盈德李潞秀 其他十七
倅耳 餘歸便 曉起催促
故披睡不成字 不盡萬萬
乙卯閏月十八日 子 奎鎭白是

星牧 望統
具應 洪元燮 徐日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