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호래(鎬來)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0000.4886-20090831.D48860132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호래 조태극, 중계 김수로, 농계 김기로
작성지역 경상남도 산청군
형태사항 크기: 22.5 X 34.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호래(鎬來) 서간(書簡)
모년 9월 9일에 호래(鎬來)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 집안으로 보낸 편지이다. 중계(重溪)농계(農溪) 두 형과 함께 7일 동안 시문과 역사를 평론하며 교유했던 것에 대하여 감사를 표하였다. 또한 이런 기회는 자신에게 있어서는 ‘등용문(登龍門)’이라 할 수 있어서 남에게 자랑하겠다고 하였다. 『공주연보(孔朱年譜)』의 간행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1차 집필자:김남규 , 2차 집필자:오덕훈

상세정보

연도미상 9월 9일에 호래단계 김인섭 집안으로 보낸 서간
내용 및 특징
모년 9월 9일에 鎬來 趙泰克단계 김인섭(1827~1903) 집안으로 보낸 편지이다. 重溪農溪 두 형제와 함께 7일 동안 시문과 역사를 평론하며 교유했던 것에 대하여 감사를 표하였다. 또한 이런 기회는 자신에게 있어서는 ‘등용문(登龍門)’이라 할 수 있어서 남에게 자랑하겠다고 하였다. 『공주연보(孔朱年譜)』의 간행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는 공자(孔子)주자(朱子)를 가리키고, 안선생(安先生)은 우리나라에 주자학을 도입시킨 안향(安珦)을 가리킨다. 重溪는 단계 김인섭의 맏아들인 金壽老의 호이고, 農溪는 단계의 둘째 아들 金基老의 호이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 , 「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1차 집필자:김남규 , 2차 집필자: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호래(鎬來) 서간(書簡)

重溪農溪兩位仁兄經座執事
山北江南七日路 評詩論史仲秋遊 當日主簠 非吾
兄 昆仲氏耶 如鎬之斂部曲 而聽指揮者 亦可謂登龍
門矣 持此而足以自幸矣 持此而亦足以誇於人矣
採景行樂 尙如此 況又有進於此者乎 交脩共
濟 相期於栢後之天 惟吾兄昆仲氏是已 請以其
自勉者 勉鎬無保 小人之歸 不勝區區也 孔朱年
譜 已畢鍥而獨安先生年譜 猶未正書 恐將
重煩於令允矣 無虧一簣之功幸矣 跋語前
有所囑 間或締思否 此回示也 是役也 烏可無
兄一言乎 是仰是仰 明日率阿婦母子以還 春淑必帶
來多少 可以傳燈以燈也 姑此不備
重陽日 鎬來 弟拜拜

以后竹坡嶺寓 逐日相愕 而勿以諸公皆平善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