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산초(汕樵)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0000.0000-20090831.E47841021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이원조
형태사항 크기: 28 X 44.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성주 한개 성산이씨 응와종택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문중소개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산초(汕樵) 서간(書簡)
상대의 안부를 묻고 떠나기 전에 뵈려고 했으나, 여의치 않아서 내일 찾아뵙겠다는 내용의 별지.
KSAC+A01+KSM-XF.0000.0000-20090831.E47841021_0-DES.INF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상세정보

산초(汕樵)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별지(別紙)로, 상대의 안부를 묻고, 떠나기 전에 뵈려고 했으나 여의치 않아서 내일 찾아뵙겠다는 내용.
내용 및 특징
산초(汕樵)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에게 보낸 답신에 첨부된 별지(別紙)이다. 지난번 길에서 잠시 만난 것이 못내 아쉽더니, 또 헛걸음을 시켜서 죄송하다고 하였다. 서찰을 보내 준 것도 감사한 일이거늘, 건강하다는 말에 더욱 감사하다고 전한다. 자신은 이른 아침에 이별 하려 했지만, 하인과 말을 못 빌려 아직 출발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출발하기 전에 만나려 했으나, 절친한 벗 정언(正言)이헌주(李憲周)의 외사촌이 곧 처소로 온다고 하여 내일 찾아뵙겠다고 전한다. 음식을 보내주어서 매우 감사드린다는 말로 끝을 맺었다.
자료적 가치
간찰(簡札)은 서찰(書札)·편지(便紙)·간독(簡牘)·서간(書簡)·척독(尺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고대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 내용은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 등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어서 인간사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
1차 집필자: 황동권 , 2차 집필자 : 김상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산초(汕樵) 서간(書簡)

[별지]
拜謝候上
路逢電過 不但以悵仰言 又辱
虛枉 悚仄極矣 又辱委存
情感無比 況伏審
兄候萬衛 第行期之臨迫
想多惱撓 仰慰且慮 弟早
當進別 而指蹄難借 迄未
遂意 大擬發程前 會晤矣
今日 忽有切友李正言憲周
表 方赴其次 勢將於開明圖
進耳 官味之委惠 珍謝
無已 曷非情念所及 何遽至
此耶 餘在臥敍 不備
卽旋 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