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권영(權寧)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0000.0000-20090831.D48860192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권영, 김수로
형태사항 크기: 24.5 X 31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권영(權寧) 서간(書簡)
연월일 미상의 즉일(卽日)에 죄인 하생(下生) 권영(權寧)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1827~1903)의 아들인 중계(中溪) 김수로(金壽老)(1859~1936)에게 보낸 편지이다. 지난번에 상대방이 흉악한 무리들에게 구타당하는 일까지 있은 일은 분하고 답답함을 이길 수 없는 일이었는데,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한 번 찾아가 보지 못한 것을 부끄럽다고 하였다. 그러나 문장(文丈)이 수욕을 당했으나 고을로 봐서는 영광이라고 하였다. 그 동안 가끔 종제(從弟) 편에 안부를 들었다고 밝히며,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대방의 건강에 대해 염려하는 마음을 표하였다. 자신의 아버지 산소 이장과 관련하여 예법상 의문점을 질의하였다. 『사의(士儀)』에서는 ‘치구(治具)는 초상 때와 같지만 조금 다른 것은 조전(祖奠)이 없는 것 뿐’이라 하였고, 또 축식(祝式)에는 반곡(返哭)이 있는데 반곡(返哭)은 초상시의 반혼(返魂)이라는 점에서 초상에는 반혼(返魂)이고 개장에는 반곡(返哭)이라는 설명은 혼백이 온다거나 간다는 문구를 본 적이 없으니 이것이 혹 속례(俗禮)에서 나온 것인지 아니면 『가례(家禮)』에 있는 내용인지를 물었다. 또, 면례가 끝났을 때 마땅히 제주(題主)를 해야 되겠지만 자신이 상주의 몸으로 그 예법에 부응할 형편이 못되고, 개장(改葬)이지만 초상 때의 신주가 그대로 있으니, 제반 격식을 초상 때와 같이 하더라도 혼백이 따를 것이므로 무방할 듯 한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에 대하여 문의하고 있다.
1차 집필자: 김남규, 2차 집필자: 오덕훈

상세정보

연월일 미상의 즉일(卽日)에 죄인 하생(下生) 권영(權寧)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의 아들인 중계(中溪) 김수로(金壽老)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연월일 미상의 즉일(卽日)에 죄인 하생(下生) 권영(權寧)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1827~1903)의 아들인 중계(中溪) 김수로(金壽老)(1859~1936)에게 보낸 편지이다. 지난번에 상대방이 흉악한 무리들에게 구타당하는 일까지 있은 일은 분하고 답답함을 이길 수 없는 일이었는데,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한 번 찾아가 보지 못한 것을 부끄럽다고 하였다. 그러나 문장(文丈)이 수욕을 당했으나 고을로 봐서는 영광이라고 하였다. 그 동안 가끔 종제(從弟) 편에 안부를 들었다고 밝히며,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대방의 건강에 대해 염려하는 마음을 표하였다. 자신의 아버지 산소 이장과 관련하여 예법상 의문점을 질의하였다. 『사의(士儀)』에서는 ‘치구(治具)는 초상 때와 같지만 조금 다른 것은 조전(祖奠)이 없는 것 뿐’이라 하였고, 또 축식(祝式)에는 반곡(返哭)이 있는데 반곡은 초상시의 반혼(返魂)이라는 점에서 초상에는 반혼이고 개장에는 반곡이라는 설명은 혼백이 온다거나 간다는 문구를 본 적이 없으니 이것이 혹 속례(俗禮)에서 나온 것인지 아니면 『가례(家禮)』에 있는 내용인지를 물었다. 또, 면례가 끝났을 때 마땅히 제주(題主)를 해야 되겠지만 자신이 상주의 몸으로 그 예법에 부응할 형편이 못되고, 개장(改葬)이지만 초상 때의 신주가 그대로 있으니, 제반 격식을 초상 때와 같이 하더라도 혼백이 따를 것이므로 무방할 듯 한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에 대하여 문의하고 있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晋陽續誌』, 성여신,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端磎集』, 김인섭,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琴臯集』, 성석근, 남명학고문헌시스템
1차 집필자: 김남규, 2차 집필자: 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권영(權寧) 서간(書簡)

中溪文長 經几下 疏上
稽顙白 卽者頹波胥溺之亂 以義理不屈之由 言
出如箭 至有凶悍輩拘打之辱 聞不勝惶惶忿
㭗 坐在衰竟 更靡多故 一未晉候 良用愧赧
竊伏念此事 則於文丈受辱而爲榮於吾
鄕 無愧而有人 曷不欣蹌 間因從弟兒 叩
審動靜 尙未快復 望須善爲調護 自
家扶持 就白先考緬禮 獊猝經營
日字亦難 以一二日遷推 故事出不已 而今日
爲定 而素以懞昧 恐或有失禮之端 且喪中
改葬格式 想不無其定 而祝板則因安叔便可悉
然所可疑者 士儀云 治具與始葬相同 少有異者
無祖奠而已 且以祝式看之 則返哭有之 返哭則乃始
葬返魂也 於始葬改葬 有返魂返哭之說 而亦未
見魂魄來去之文 此或出隨俗之禮乎 或出於家禮
之文乎 亦未詳知 則幷所疑也 而治具無異 則魂魄

隨體 似爲無碍 而且以葬後主之 則禮畢 題主古
人當爲 而今此罪人 不肖無狀 尙未能副其禮 而守
殯 自顧所處與題主 喪有異 旣有題主 則雖
喪中改葬 神主奉安 不及山處 愚所知也 而
今未題主 而改葬魂魄 與始葬時 依舊尙存 諸格
當隨始葬 則魂魄亦與始葬相從 似或無妨 然亦未知
其可否 故玆以仰達 幸須試之而還示陶勻
之化 伏望耳 餘荒迷不次 謹白
卽日 罪人下生 權寧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