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조태극(趙泰克)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0000.0000-20090831.D48860186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조태극, 김기로, 김수로
형태사항 크기: 24 X 28.5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조태극(趙泰克) 서간(書簡)
연도 미상의 4월 24일에 제(弟) 조태극(趙泰克)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1829~1903)의 아들인 김수로(金壽老)(1859~1920) 형제에게 보낸 편지이다. 열흘 동안 동행이 되어 기(箕)영(潁) 사이를 유람하다가 고(古)호(湖) 사이에서 작별한 일을 회상하며 아쉬움을 토로하였다. 그간에 형제간의 안부를 묻고, 젖먹이 손자가 잘 자라는지 물었다. 자신은 두 사람이 잘 인도해서 류승(柳丞)의 집에서 비를 피하고 귀가 했는데, 집에 돌아와서 보니 처자식은 근근이 지내지만 어린 손자가 성치 않아서 걱정이라는 소식을 전해 주고 있다. 다음 달에 다시 만날 테니 자세한 것은 그 때 말해 주기로 한다고 하고, 여러 가지 많은 사연은 바빠서 다 적지 못하니 이해하라고 하였다. 중계(中溪)김인섭(金麟燮)의 맏아들인 김수로(金壽老)의 호로, 중계(重溪)라고도 하며, 농계(農溪)김인섭(金麟燮)의 둘째 아들인 김기로(金基老)(1861~1922)의 호이다. 김수로(金壽老)의 호는 중계(重溪)라고 그 집안 족보에 나와 있으나, 중계(中溪)로도 쓴 것을, 하겸진(河謙鎭)(1870∼1946)의 문집인 『회봉선생유서(晦峯先生遺書)』 제 5권에 「만금중계수로(挽金中溪壽老)」라는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1차 집필자: 김남규, 2차 집필자: 오덕훈

상세정보

연도 미상의 4월 24일에 제(弟) 조태극(趙泰克)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의 아들인 김수로(金壽老) 형제에게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연도 미상의 4월 24일에 제(弟) 조태극(趙泰克)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1829~1903)의 아들인 김수로(金壽老)(1859~1920) 형제에게 보낸 편지이다. 열흘 동안 동행이 되어 기(箕)영(潁) 사이를 유람하다가 고(古)호(湖) 사이에서 작별한 일을 회상하며 아쉬움을 토로하였다. 그간에 형제간의 안부를 묻고, 젖먹이 손자가 잘 자라는지 물었다. 자신은 두 사람이 잘 인도해서 류승(柳丞)의 집에서 비를 피하고 귀가 했는데, 집에 돌아와서 보니 처자식은 근근이 지내지만 어린 손자가 성치 않아서 걱정이라는 소식을 전해 주고 있다. 다음 달에 다시 만날 테니 자세한 것은 그 때 말해 주기로 한다고 하고, 여러 가지 많은 사연은 바빠서 다 적지 못하니 이해하라고 하였다. 중계(中溪)김인섭(金麟燮)의 맏아들인 김수로(金壽老)의 호로, 중계(重溪)라고도 하며, 농계(農溪)김인섭(金麟燮)의 둘째 아들인 김기로(金基老)(1861~1922)의 호이다. 김수로(金壽老)의 호는 중계(重溪)라고 그 집안 족보에 나와 있으나, 중계(中溪)로도 쓴 것을, 하겸진(河謙鎭)(1870∼1946)의 문집인 『晦峯先生遺書』 제 5권에 「挽金中溪壽老」라는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晋陽續誌』, 성여신,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端磎集』, 김인섭,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琴臯集』, 성석근, 남명학고문헌시스템
1차 집필자: 김남규, 2차 집필자: 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조태극(趙泰克) 서간(書簡)

中溪 農溪兩位 仁兄經棣座 執事
携我乎之間 送我乎之外矣 十日佳遊
一朝相分 居留之懷 孰爲多少 十步九顧 及至山窮
水盡而後已也 不審 二夜回
湛候聯床萬善 幼彧充茁 賴二君善導
柳丞家 遇雨得免 櫛沐之勞 而川后晩松▣
一夕話 所謂遇雨吉者 是耶 歸家見妻孥僅
依 而幼孫之不健 恒在念 而不能一覕忘也 來月更
進 另欲依臨岐叮嚀矣 二君告別 浩悵如失
有如兩位兄 送我峕也 件件緖思 蔥蔥未究
幸須 黙亮 四月念四日 弟鎬來拜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