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87년 권동혁(權東赫)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0000.0000-20090831.D48860150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권동혁
형태사항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87년 권동혁(權東赫) 서간(書簡)
정해년(丁亥年) 3월7일에 사돈 권동혁(權東赫)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 집안으로 보낸 편지이다. 자신이 제례에 사용할 반기(盤器)가 절반이 분실되어 많이 부족하다하고, 부족한 부분을 상대방 선정(先亭)에 소장하고 있는 집기(什器)를 약간 빌려주면 깨끗하고 쓰고 완전하게 돌려주겠으니 저버리지 않는 것이 어떠하냐고 했다.
1차 집필자: 김남규, 2차 집필자: 오덕훈

상세정보

丁亥年 3월7일에 사돈 權東赫단계 김인섭 집안으로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정해년(丁亥年) 3월7일에 사돈 권동혁(權東赫)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1827~1903) 집안으로 보낸 편지이다. 밤사이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부탁할일은 완계정(浣溪亭)의 석전제례(釋奠祭禮)가 내일 있는데 반기(盤器)가 절반이 분실되어 많이 부족하다하고, 부족한 부분을 상대방 선정(先亭)에 소장하고 있는 집기(什器)를 약간 빌려주면 깨끗하고 쓰고 완전하게 돌려주겠으니 저버리지 않는 것이 어떠하냐고 했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晋陽續誌』, 성여신,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端磎集』, 김인섭,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琴臯集』, 성석근, 남명학고문헌시스템
1차 집필자: 김남규, 2차 집필자: 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87년 권동혁(權東赫) 서간(書簡)

仰頌夜來
尊體大安耳 第所仰懇事 浣溪亭釋菜
禮在明日 而盤器太半紛失 有多小不足 貴
先亭所藏什器約干 或可惠借 則當精用
還完矣 勿孤若何
丁亥三月初七日 査生 權東赫 片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