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872년 강진형(姜震馨) 서간(書簡) 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F.0000.0000-20090831.D48860138_0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내용분류: 개인-생활-서간
작성주체 강진형
형태사항 크기: 24 X 26
장정: 낱장
수량: 1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소장정보 원소장처: 산청 단계 상산김씨 김인섭후손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현소장처: 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내정보

1872년 강진형(姜震馨) 서간(書簡)
임신년(壬申年) 4월17일에 강진형(姜震馨)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 집안에 보낸 편지이다. 상대방과 상대방 아들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졸렬함으로 어떻게 상대방을 번거롭게 하겠느냐하고, 내일이나 모래쯤 찾아뵐 계획이니 이로써 양해해 달라고 했으며, 나머지는 만나보는 것에 달려있다고 했다.
1차 집필자: 김남규, 2차 집필자: 오덕훈

상세정보

壬申年 4월17일에 姜震馨단계 김인섭 집안에 보낸 편지
내용 및 특징
壬申年 4월17일에 姜震馨단계 김인섭(1827~1903) 집안에 보낸 편지이다. 가르침을 받고 해가 바뀌어 죄송함이 그치지 않던 중에 상대방 아들이 찾아와 보내준 서찰을 받고 매우 기뻤다고 했다. 지독한 추위에 상대방의 안부가 어떠한지 묻고, 아드님의 병은 점차 좋아지느냐고 했다. 자신은 졸렬함으로 어떻게 상대방을 번거롭게 하겠느냐하고, 내일이나 모래쯤 찾아뵐 계획이니 이로써 양해해 달라고 했으며, 나머지는 만나보는 것에 달려있다고 했다.
자료적 가치
『慶南文化硏究』24집,「진주 지역 문집의 현황과 그 의미」, 이상필, 경상남도문화연구소 2003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상필, 와우[예맥커뮤니케이션] 2005.
『晋陽續誌』, 성여신,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端磎集』, 김인섭, 남명학고문헌시스템
『琴臯集』, 성석근, 남명학고문헌시스템
1차 집필자: 김남규, 2차 집필자: 오덕훈

이미지

원문 텍스트

1872년 강진형(姜震馨) 서간(書簡)

重溪丈丈 經廬下
拜敢聽敎歲改于玆矣 伏悚
不已中 卯君賁臨 兼承敎下 欣
喜萬萬 中卯至於病錄之行 驚
慮不淺 伏審 至冱
經體候 連爲萬安 子舍所愼 漸至
勿藥之境 幷伏溸區區不任勞祝
下生依劣何煩 第就▣誠禮 當卽爲
進拜 而今有緊觀 未能逐意 罪悚
明再間進達爲計 以者諒下 千
萬伏望 餘在進晤 不備 上謝
壬申四月十七日 下生 姜震馨 再拜謝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