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3년 안동군 예안면(禮安面) 귀단동(歸團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D.1913.4717-20090831.T47171807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작성주체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913
형태사항 크기: 27 X 19.5
장정: 합철
수량: 99장
판식: 半葉匡郭, 有界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일본어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군청 / 경상북도 안동시 명륜동
현소장처: 안동시청 / 경상북도 안동시 명륜동

안내정보

1913년 안동군 예안면(禮安面) 귀단동(歸團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歸團洞은 원래 禮安郡東下面에 속한 지역으로 구다니 또는 구단이라 하였다. 1914년 府·郡·面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귀단동芝葛洞을 병합하여 안동군禮安面에 소속되었다. 1974년 안동댐이 건설되면서 수몰지구가 되었으며, 1995년 안동시·군이 통폐합되면서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귀단동에는 高通, 와운데(王運臺, 구름들, 雲坪), 燕谷, 芝村(聖祖洞, 승짓골, 聖芝골), 가래실(葛內室, 葛田), 金谷(쇠이골), 노루메기, 한자골(한재골), 새마을(새마) 등으로 불리는 자연마을이 있다. 고통고려공민왕이 홍건적 난을 피해서 청량산으로 몽진할 때 이 마을 앞을 통과하였다는 데서 유래하였듯이 청량산 산자락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마을이다. 1913년 현재 귀단동에는 李氏, 金氏, 琴氏, 權氏, 鄭氏, 趙氏, 林氏, 朴氏, 辛氏, 嚴氏, 具氏, 孫氏, 張氏, 申氏, 崔氏 등 적어도 15개 이상의 성씨가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다. 이 가운데 이씨, 김씨, 금씨가 상대적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日帝下 朝鮮土地調査事業 計劃案의 變更過程」, 남기현, 『史林』 32, 수선사학회, 2009
『朝鮮土地調査事業硏究』, 愼鏞廈, 韓國硏究院, 1979
『朝鮮土地調査事業の硏究』, 宮嶋博史,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91
『朝鮮の姓』, 朝鮮總督府, 龍溪書舍, 2002
『安東의 地名由來』, 안동시립민속박물관, 安東民俗博物館, 2002
정진영

상세정보

1913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安東郡禮安面歸團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安東郡禮安面歸團洞土地調査簿
자료의 내용
1913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여 전국의 토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때 개인의 전답소유권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토지신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했으며, 만약 토지신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지주가 있으면 그의 소유지는 國有地로 편입되었다. 이 같은 조치에 따라 慶北安東郡禮安面歸團洞의 田畓과 垈地, 池沼, 林野, 墳墓地 등을 소유한 소유자들은 1913년 1월 10일부터 1914년 6월 30일까지 토지신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일제는 이를 근거로 『安東郡禮安面歸團洞 土地調査簿』를 만들었다. 토지신고서의 제출은 여성도 가능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남자들의 이름으로 신고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들이 신고주체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여자 이름이 공문서에 기재되는 것을 기피하였던 전통 때문에 빚어진 것이다. 귀단동의 토지는 모두 1,122필지 673,616평이다. 이 가운데 田은 620필지 425,031평이고, 畓은 396필지 196,130평, 垈는 72필지 14,874평, 林野는 14필지 31,444평, 墳墓地는 20필지 6,137평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전이 답보다 필지수에 있어서는 2.8배, 면적에 있어서는 2.2배나 많다. 『土地調査簿』의 所有者 住所欄은 아주 혼란스럽다. 그것은 토지 申告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직전에 이루어 졌기 때문에 소유자 주소는 행정구역 통폐합 이전의 〮군․면․동체제에 따라 기재되어 있다. 즉, 옛 禮安郡이나 안동군北先面, 東先面, 臨南面, 西先面 등은 1914년 통폐합되어 그 명칭이 소멸되어 버렸지만, 주소란에는 여전히 소멸된 군․면․동의 이름으로 기재되어 있다. 자료 정리에 있어서 이런 경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소유자 주소란에 주소가 기재되어 있지 않는 경우이다. 이것은 소유자 주소와 토지 소재지가 일치하기 때문이다. 즉, 주소란이 공란으로 처리된 경우는 토지 소유자 또는 신고자가 本洞民임을 의미한다. 주소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군 또는 면단위에서의 자료 통합을 위해서 토지소재지 동리 명을 그대로 주소로 표기하였다. 그러나 토지소재지의 군․면․동 명칭은 1914년 개편이후의 행정체제에 따랐기 때문에 타동민의 주소 표기와는 체제가 다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토지조사부』 소유자 주소는 결과적으로 행정구역 개편 전후의 군․면․동체제가 혼재되어 있는 셈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군․면별 자료를 통합하고 소유자별로 정렬하여 주소를 재정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자료 이용에 있어서 이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소유자별로는 國有地가 전 1필지 225평, 답 1필지 418평이고, 나머지는 모두 民有地이다. 귀단동의 민유지 총 소유자는 285명이다. 그리고 이들 285명 가운데, 귀단동을 주소로 하는 소유자는 80명, 그 밖의 경우가 205명이다. 귀단동 소유자의 성씨별 분포는 모두 15개 성씨로 李氏 18명, 金氏 16명, 琴氏 15명, 權氏 7명, 鄭氏 6명, 趙氏 4명, 林氏 3명, 朴氏·辛氏·嚴氏 각 2명, 具氏·孫氏·張氏·申氏·崔氏 각 1명 등이다. 귀단동 동민이 소유한 토지는 전 275필지 180,995평, 답 102필지 39,231평, 대지 37필지 6,773평, 임야 7필지 20,088평, 분묘지 2필지 223평이다. 타동민 소유자 가운데 同面 거주자는 59명, 同郡 거주자는 123명, 타군민 15명(봉화6, 영양6, 풍기2, 진보1), 타도민 1명(충남 진잠) 등으로 나타난다.
기타 및 특이사항
기타사항은 귀단동 동소유로 임야 2필지 5,435평, 禮安公立普通學校 소유로 전 1필지 218평, 답 4필지 818평, 禮安郡宜西面溫惠洞李忠鎬 외 2인 명의의 私立寶文義塾 재산으로 답 5필지 1,448평이 있다. 그리고 宗中財産으로는 英陽郡靑二面無盡洞權基永 명의의 전 1필지 554평과 예안면台谷洞權養叔 외 3인 명의의 대지 3필지 1,507평, 분묘지 1필지 569평, 임야 1필지 1,869평, 전 5필지 3,166평, 그리고 邑內面西部洞申鉉奭 외 2인 명의의 답 1필지 459평, 대지 1필지 80평, 전 2필지 1,006평이 있다. 일본인 소유는 전혀 없다.
자료적 가치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의 안동군禮安面歸團洞의 국유지와 민유지의 토지분포 상황, 개인 또는 門中, 書院, 鄕校, 私立學校 등의 토지소유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그러나 『토지조사부』의 소유자가 곧 실재의 토지소유자가 아닌 경우도 있다. 같은 호에 거주하던 父子, 兄弟가 각각 토지신고서를 제출하기도 했고, 반대로 부자, 형제간의 개별 소유지를 한 사람의 이름으로 신고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分錄과 合錄은 조선시대부터 내려오던 오랜 관행이었다. 또한 宗中財産을 종손 개인의 이름으로 신고한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토지조사부』를 통해 당시의 소유 실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하여 『토지조사부』의 자료적 가치가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1910년대의 전답분포나 토지소유현황 등 전반적인 추세를 살펴보는 데는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土地調査事業은 일본 제국주의가 조선 식민지 지배를 위한 기초적 사업 가운데 하나였고, 『토지조사부』는 바로 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식민지지배 정책과 과정, 土地․林野의 침탈의 과정, 규모 등을 살필 수 있다. 실제로 『토지조사부』에는 朝鮮總督府의 토지침탈 국책기관이었던 東洋拓植株式會社 또는 일본인들의 토지소유 상황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토지조사부』가 동리단위로 작성되었고, 또 소유자의 거주지가 1914년 府․郡․面․洞里 통폐합 이전의 행정구역명으로 기재되어 있어서 개편 이전의 면리동의 행정편제, 동리의 규모, 호수, 거주 성씨, 개인별 토지소유 현황 등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日帝下 朝鮮土地調査事業 計劃案의 變更過程」, 남기현, 『史林』 32, 수선사학회, 2009
『朝鮮土地調査事業硏究』, 愼鏞廈, 韓國硏究院, 1979
『朝鮮土地調査事業の硏究』, 宮嶋博史,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91
『朝鮮の姓』, 朝鮮總督府, 龍溪書舍, 2002
『安東의 地名由來』, 안동시립민속박물관, 安東民俗博物館, 2002
정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