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1913년 안동군 풍산면(豊山面) 수동(水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A01+KSM-XD.1913.4717-20090831.T47170705_1
URL
복사
복사하기

기본정보

기본정보 리스트
분류 형식분류: 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내용분류: 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작성주체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작성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작성시기 1913
형태사항 크기: 27 X 19.5
장정: 합철
수량: 116장
판식: 半葉匡郭, 有界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일본어
소장정보 원소장처: 안동군청 / 경상북도 안동시 명륜동
현소장처: 안동시청 / 경상북도 안동시 명륜동

안내정보

1913년 안동군 풍산면(豊山面) 수동(水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水洞은 조선시대에는 안동부西先面에 속하였다. 『永嘉誌』에 의하면, “水洞村의 俗名은 首冬이다. 檜谷에서 서쪽으로 얼마 되지 않은 곳에 있다. 府와는 25里의 거리이다. 中洞下洞 통틀어 水東이라 이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上洞, 중동, 하동豊縣內面麻厓洞 각 일부를 병합하여 안동군豊山面에 소속하였다. 1995년 안동시·군 통폐합에 따라 안동시豊山邑에 편입되었다. 사방 경계는 동쪽은 水洞檜谷洞, 서쪽은 上里洞下里洞에 접한다. 남쪽은 낙동강과 접하고, 건너편은 丹湖洞이다. 북쪽은 魯洞과 접한다. 그리고 豊山柳氏 水洞齋舍(민속자료 제127호) 등의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다. 1913년 현재 수동에는 姜氏, 權氏, 金氏, 朴氏, 宋氏, 申氏, 吳氏, 柳氏, 李氏, 張氏, 全氏, 池氏, 崔氏, 洪氏 등 적어도 14개 이상의 성씨가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김씨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日帝下 朝鮮土地調査事業 計劃案의 變更過程」, 남기현, 『史林』 32, 수선사학회, 2009
『朝鮮土地調査事業硏究』, 愼鏞廈, 韓國硏究院, 1979
『朝鮮土地調査事業の硏究』, 宮嶋博史,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91
『朝鮮の姓』, 朝鮮總督府, 龍溪書舍, 2002
『安東의 地名由來』, 안동시립민속박물관, 安東民俗博物館, 2002
정진영

상세정보

1913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慶北安東郡豊山面水洞의 田畓과 垈地, 林野, 墳墓地 등의 소유자로부터 신고서를 제출받아 작성한 토지 장부
安東郡豊山面水洞土地調査簿
자료의 내용
1913朝鮮總督府 臨時土地照査局에서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여 전국의 토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때 개인의 전답소유권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토지신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했으며, 만약 토지신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지주가 있으면 그의 소유지는 國有地로 편입되었다. 이 같은 조치에 따라 慶北安東郡豊山面水洞의 田畓과 垈地, 池沼, 林野, 墳墓地 등을 소유한 소유자들은 1913년 2월 25일부터 1914년 4월 25일까지 토지신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일제는 이를 근거로 『安東郡豊山面水洞 土地調査簿』를 만들었다. 토지신고서의 제출은 여성도 가능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남자들의 이름으로 신고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들이 신고주체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여자 이름이 공문서에 기재되는 것을 기피하였던 전통 때문에 빚어진 것이다. 수동의 토지는 모두 1,321필지 588,872평이다. 이 가운데 田은 822필지 404,035평이고, 畓은 356필지 145,451평, 垈는 129필지 20,780평, 池沼는 1필지 98평, 林野는 3필지 16,483평, 雜種地는 3필지 48평, 墳墓地는 7필지 1,977평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전이 답보다 필지수에 있어서는 2.3배, 면적에 있어서는 2.8배나 많다. 『土地調査簿』의 所有者 住所欄은 아주 혼란스럽다. 그것은 토지 申告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직전에 이루어 졌기 때문에 소유자 주소는 행정구역 통폐합 이전의 〮군․면․동체제에 따라 기재되어 있다. 즉, 옛 禮安郡이나 안동군北先面, 東先面, 臨南面, 西先面 등은 1914년 통폐합되어 그 명칭이 소멸되어 버렸지만, 주소란에는 여전히 소멸된 군․면․동의 이름으로 기재되어 있다. 자료 정리에 있어서 이런 경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소유자 주소란에 주소가 기재되어 있지 않는 경우이다. 이것은 소유자 주소와 토지 소재지가 일치하기 때문이다. 즉, 주소란이 공란으로 처리된 경우는 토지 소유자 또는 신고자가 本洞民임을 의미한다. 주소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군 또는 면단위에서의 자료 통합을 위해서 토지소재지 동리 명을 그대로 주소로 표기하였다. 그러나 토지소재지의 군․면․동 명칭은 1914년 개편이후의 행정체제에 따랐기 때문에 타동민의 주소 표기와는 체제가 다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토지조사부』 소유자 주소는 결과적으로 행정구역 개편 전후의 군․면․동체제가 혼재되어 있는 셈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군․면별 자료를 통합하고 소유자별로 정렬하여 주소를 재정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자료 이용에 있어서 이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소유자별로는 國有地가 임야 1필지 15,418평이고, 나머지는 모두 民有地이다. 수동의 민유지 총 소유자는 331명이다. 그리고 이들 331명 가운데, 수동을 주소로 하는 소유자는 없다. 그것은 수동1914년에 상동, 중동, 마애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설된 동이기 때문이다. 이들 세 동을 주소로 하는 소유자를 수동민으로 본다면 이들은 모두 98명, 그 밖의 경우가 233명이 된다. 수동 소유자의 성씨별 분포는 모두 14개 성씨로 姜氏 2명, 權氏 14명, 金氏 62명, 朴氏 3명,李氏 4명, 全氏 5명, 崔氏·宋氏·申氏·吳氏·柳氏·張氏·池氏·洪氏 각 1명 등이다. 수동 동민이 소유한 토지는 전 330필지 156,688평, 답 107필지 32,905평, 대지 73필지 10,647평, 지소 1필지 98평, 임야 1필지 744평, 분묘지 1필지 205평이다.
기타 및 특이사항
기타사항은 수동 동소유로 잡종지 2필지 30평, 安東郡鄕校 소유로 전 1필지 118평, 답 1필지 217평이 있다. 그리고 宗中財産으로는 豊縣內面上里洞金魯淳 명의의 전 6필지 1,795평, 金晩淳 명의의 전 6필지 2,293평, 답 5필지 4,113평, 대지 1필지 178평, 金炳斗 명의의 전 7필지 1,634평, 답 2필지 848평, 李準英 명의의 전 4필지 1,931평, 답 6필지 1,135평, 대지 2필지 227평이 있다. 또한 풍현내면下里洞李準海 명의의 전 1필지 62평, 답 2필지 1,291평, 李準孝 명의의 전 3필지 2,695평, 답 1필지 1,613평, 대지 1필지 180평, 李會鳳 명의의 전 10필지 3,236평, 답 4필지 2,798평, 대지 1필지 102평이 있다. 그리고 豊北面晩雲洞金昌根 명의의 전 8필지 4,023평, 답 4필지 3,243평, 대지 1필지 316평이 있다. 太師廟재산으로 府內面東門內洞金周一 명의의 전 2필지 2,560평이 있다.
자료적 가치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의 안동군豊山面水洞의 국우지와 민유지의 토지분포 상황, 개인 또는 門中, 書院, 鄕校, 私立學校 등의 토지소유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그러나 『토지조사부』의 소유자가 곧 실재의 토지소유자가 아닌 경우도 있다. 같은 호에 거주하던 父子, 兄弟가 각각 토지신고서를 제출하기도 했고, 반대로 부자, 형제간의 개별 소유지를 한 사람의 이름으로 신고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分錄과 合錄은 조선시대부터 내려오던 오랜 관행이었다. 또한 宗中財産을 종손 개인의 이름으로 신고한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토지조사부』를 통해 당시의 소유 실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하여 『토지조사부』의 자료적 가치가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1910년대의 전답분포나 토지소유현황 등 전반적인 추세를 살펴보는 데는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土地調査事業은 일본 제국주의가 조선 식민지 지배를 위한 기초적 사업 가운데 하나였고, 『토지조사부』는 바로 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식민지지배 정책과 과정, 土地․林野의 침탈의 과정, 규모 등을 살필 수 있다. 실제로 『토지조사부』에는 朝鮮總督府의 토지침탈 국책기관이었던 東洋拓植株式會社 또는 일본인들의 토지소유 상황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토지조사부』가 동리단위로 작성되었고, 또 소유자의 거주지가 1914년 府․郡․面․洞里 통폐합 이전의 행정구역명으로 기재되어 있어서 개편 이전의 면리동의 행정편제, 동리의 규모, 호수, 거주 성씨, 개인별 토지소유 현황 등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日帝下 朝鮮土地調査事業 計劃案의 變更過程」, 남기현, 『史林』 32, 수선사학회, 2009
『朝鮮土地調査事業硏究』, 愼鏞廈, 韓國硏究院, 1979
『朝鮮土地調査事業の硏究』, 宮嶋博史,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91
『朝鮮の姓』, 朝鮮總督府, 龍溪書舍, 2002
『安東의 地名由來』, 안동시립민속박물관, 安東民俗博物館, 2002
정진영